대전 대덕 특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으로 확정돼 오늘 발표된다고 한다. 평가위원회의 심의 결과 대덕 특구가 최적지로서 이견이 없었다고 한다. 굳이 항목별 평가를 따질 것도 없이, 과학벨트의 근본 취지만 되새겨도 곧바로 같은 결론에 이를 수 있는 만큼 당연한 결과다.
과학벨트는 줄잡아 50여 개, 많게는 80여 개 사업으로 이뤄져 있지만,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핵심이다. 중이온가속기 운용이 장기적으로 가져올 응용과학기술 파급효과가 자주 거론되지만, 어디까지나 기초과학 연구 진흥이 주된 목적이다. 기초과학연구원과 한 묶음일 수밖에 없다. 대덕연구단지는 1970년대 조성한 이래 국가 과학기술연구의 거점 역할을 해온 점에서 더 나은 대체지를 떠올리기 어렵다.
과학벨트의 축이 대덕 특구에 자리잡게 되면, 아직까지 분명한 미래상을 보여주지 못한 세종시 건설사업의 진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만하다. 이로써 대전 신도심 지역의 정부 대전청사와 대덕 특구, 세종시를 잇는 행정ㆍ과학 복합단지가 제 모습을 띠게 됐다. 나아가 대덕 특구와 주변에 자리잡은 각종 연구소와 대학, 민간 벤처기업 등을 연계한 산ㆍ학ㆍ연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도 겨냥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이치를 제대로 헤아린다면, 그 동안 유치 경쟁에 적극 참여했던 영호남 광역단체의 반발은 실없다. 전체 사업 가운데 작은 부분이라도 얻어낸 것에서 위안을 찾고, 지방경제에 미칠 효과보다는 나라 전체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합리적 판단에 승복해야 마땅하다.
다만 정부 방침이 오락가락하는 바람에 입지 논란과 유치 경쟁이 지나치게 커졌다는 점에서 정책 결정자들의 반성을 빠뜨릴 수 없다. 특히 올 들어 청와대 관계자가 2007년 대선 당시'과학벨트 충청권 유치'를 다짐한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 변화를 언급한 것이 논란 확대에 결정적 계기였음은 꼭 되짚어 볼 만하다.
사필귀정의 결과에서 한국사회의 집단이성을 확인한다. 지역이기주의에 매달린 거친 외침은 이에 비추어 몹시 초라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