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거점지구가 대전 대덕연구단지로 최종 선정됐다. 거점지구에는 과학벨트의 핵심 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이 들어선다. 하지만 연구단을 거점지구인 대덕연구단지뿐 아니라 광주와 대구경북에 분산 배치한 것을 놓고 나눠 먹기 식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6일 이주호 장관 주재로 과학벨트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대덕연구단지 내 신동ㆍ둔곡지구를, 거점지구를 산업 금융 교육 연구 등에서 지원하는 기능지구로 충북 청원군(오송 오창)과 충남 연기군(세종시) 천안시을 결정했다.
거점지구 선정을 위한 최종 평가에서 신동ㆍ둔곡 지구가 75.01점으로 2위 대구(테크노폴리스지구)의 64.99점을 10점 이상 앞섰다. 신동ㆍ둔곡지구는 평가지표 가운데 연구기반 구축ㆍ집적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은 대전의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15개, 카이스트에 10개가 세워진다. 나머지 25개는 대구ㆍ경북 지역에 약 10개, 광주 지역에 약 5개를 몰아주고, 나머지는 다른 지역으로 분산 배치한다.
하지만 이 같은 연구단의 지역 할당은 다른 지역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편법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또 향후 선임될 기초과학연구원장 연구원 과학자문위원회가 국내ㆍ외를 막론해 연구 수월성(역량)을 갖춘 연구단장 후보와 연구 분야 및 기관을 물색한 뒤 이를 중심으로 연구단을 설치하는 게 기본 원칙인데 이에 역행했다는 지적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과학벨트 조성에 필요한 전체 예산을 2009년 마련된 정부 과학벨트 종합계획안(3조5,000억원)보다 약 1조7,000억원 늘어난 5조1,800억원으로 책정했다. 이 가운데 2조3,000억원은 대전을 비롯한 거점ㆍ기능지구의 기초과학연구원 카이스트연합캠퍼스 중이온가속기 등에 지원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과학벨트 입지 선정 발표 직후 "과학벨트가 제2의 과학 진흥에 기여해 대한민국의 미래, 과학 한국의 미래에 희망이 돼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황식 총리도 이날 담화문을 통해 "오로지 국가 미래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 만큼 국민이 이번 결정을 받아들여 주기 바란다"며 "더 이상의 갈등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두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서로 자제하고 모두의 마음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과학벨트 입지로 대전이 결정되자 영남과 호남 지역 국회의원들과 지방자치단체들은 "과학벨트 선정이 미리 짠 각본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수용할 수 없다"고 강력히 반발했다.
임소형기자 precare@hk.co.kr
고성호기자 sung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