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7일 정의화 국회부의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를 구성했다.
비대위는 새 지도부 선출 때까지 4ㆍ27재보선 참패로 위기에 처한 여당 쇄신의 밑그림을 그리게 된다. 하지만 소장파 의원들이 8일 절차상의 문제를 들어 비대위 재구성을 요구하고 나섰고 9일로 예정됐던 첫 회의도 무산됐다. 닻을 올리기도 전에 역풍부터 만난 격이 됐다.
13명으로 구성된 비대위원 면면을 보면 정 위원장을 비롯해 범친이계 7명(원유철 박순자 차명진 신영수 윤진식 의원, 정용화 위원장), 친박계 3명(김성조 김학송 김선동 의원)이 포함됐다. 여기에 중립 성향의 황우여 원내대표, 이주영 정책위의장, 김성식 의원이 참여한다.
친이계 중 원유철 차명진 의원은 김문수 경기지사, 신영수 의원은 정몽준 전 대표와 가깝다. 하지만 정 위원장을 비롯, 비대위원들 전반적으로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다.
이재오 특임장관와 가까운 이군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초안에는 포함돼 있었지만 최종명단에서 제외됐다. 쇄신그룹인 '새로운 한나라' 소속은 4명이 포함됐다.
하지만 "여전히 친이계가 너무 많다"는 지적과 함께 '주류후퇴론'으로 요약되는 6일 원내대표 경선 결과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최대 60일간 활동하는 비대위 업무는 최고위에서 '최고위 통상 업무 및 전당대회 준비 관련 업무'로 정해졌다. 하지만 소장파 상당수는 당의 변화와 직결된 문제들도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의제 설정을 놓고 충돌을 빚을 전망이다.
소장파들은 당권 대권 분리 규정 개정, 대표 최고위원 분리선출, 전당원투표제를 비롯한 전당대회 룰 변경 등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결국 차기 당권 경쟁을 앞두고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각 계파간 힘겨루기를 얼마나 잘 조율해 내느냐에 비대위의 성패가 달렸다고 할 수 있다.
장재용기자 jy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