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5개 부처 장관을 바꾸었다. 정권 출범 당시 장관을 맡은 사람이 3년 넘게 장수하는 등 일부 부처의 개각 요인이 쌓인 데다 4ㆍ27 재보선 패배에 따른 민심 수습 차원의 인사개편 필요성에 따른 조치다. 집권 후반기로 접어든 상태에서 정부 각 부처에서 나타나기 쉬운 무사안일을 타개하고, 막바지 국정 과제 마무리를 위한 분위기 쇄신도 필요했다.
이번 부분 개각으로 새로이 장관 후보자에 지명된 면면은 일단 정권 안팎의 이런 요구를 어느 정도 반영한 듯하다. 유우익 전 주중 대사를 통일부 장관으로 임명하려는 움직임 등에 대한 돌려막기ㆍ회전문 인사 비판을 염두에 둔 듯 통일부 장관을 개각 대상에서 뺀 것이 무엇보다 눈에 띈다. 기획재정부 장관에 지명된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을 제외하고는 측근 인사 양상도 많이 완화됐다.
환경부 장관에 지명된 유영숙 한국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이나 차관에서 승진한 이채필 노동부 장관 후보자, 각각 차관을 지낸 바 있는 권도엽 국토해양부ㆍ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후보자 등도 전문성 측면에서는 손색이 없어 보인다. 물론 이들이 자리에 걸맞은 도덕성을 함께 갖추었는지는 아직 검증 절차가 남아 있지만 최소한 개각 때마다 터져 나온 '좁은 인재 풀'이니, '측근 봐주기 인사' 따위의 비난에서는 비켜갈 만하다.
다만 박 기재부 장관 후보를 제외한 나머지 인사들이 대체로 국정 핵심에서 조직 장악과 정책 결정을 주도한 경험이 없다는 점이 우려되지만, 해당 부처가 이른바 '실세 차관'들의 무대가 아니라는 점에서 적잖이 걱정을 덜었다.
반면 자신의 분야에서 묵묵히 일해 40년 만의 여성 부원장을 지낸 유 환경부 장관 후보자나 장애인으로 검정고시와 지방대를 거쳐 행정고시에 합격한 이 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기용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측면에서도 눈길을 끈다. 정권 후반기의 개각으로는 좀처럼 쉽지 않은 인사라고 볼 수 있다.
이들 면면이 국민의 바람에 얼마나 부응할 수 있을지, 진정한 국정쇄신의 계기가 될지는 미지수다. 성난 민심을 거스르지 않으려는 상식의 회복이 반가울 따름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