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27 재보선 참패 후유증을 수습하고 내년 총선과 대선을 준비할 차기 한나라당 대표에 어떤 인물이 적합한지를 두고 여권 내부 논의가 뜨겁다. 복잡한 변수와 당내 세력간 힘겨루기 등으로 인해 갑론을박식 주장이 많지만 큰 흐름은 몇 갈래로 정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표감으로 거론되는 사람들도 다양하다.
한나라당 당헌에는 대표의 잔여임기가 1년 이상일 경우에는 대표가 궐위된 날로부터 60일 이내 임시전당대회를 개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 지도부는 다음 주 중 비대위원장을 선임하고 물러날 계획이다. 이후 비대위의 전대 준비 기간과 6월 국회 일정 등을 감안하면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조기전대는 6월 말 7월 초쯤 실시될 가능성이 많다.
차기 대표 후보군은 우선 '선출 당직_대선주자 분리'를 규정한 당헌ㆍ당규 개정이 되느냐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하려면 선출직 당직에서 대선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고 규정한 당헌∙당규가 바뀌면 대선주자들이 당 대표에 출마할 수 있다. 당내에 이에 대한 공감대가 적지 않아 당헌∙당규 개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규정이 개정되면 실권을 가진 '파워 대표론'이 가능해진다. 대선주자들이 당 대표로 직접 나서 실질적으로 당을 운영하며 총선과 대선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게 된다.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해 정몽준 전 대표, 이재오 특임장관 등 당내 대선주자와 실력자들이 모두 전당대회에 나설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전대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폭발할 우려는 있다. 한 친이계 의원은 29일 "박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선다고 하면 친이계 상당수도 환영할 것"이라며 "당헌ㆍ당규 개정 합의가 이뤄질 정도라면 전대에서 계파 갈등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헌ㆍ당규 개정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우선적으로 거론되는 것이 '젊은 대표론'이다. 여권에 등돌린 30,40대 표심을 다시 가져오기 위해 세대교체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차원이다. 이런 범주에 드는 후보들이 원희룡 나경원 남경필 정두언 김태호 의원 등이다. 수도권의 한 초선 의원은 "현실적으로 대선주자들이 나서기 어려울 경우 반드시 젊은 층에게 다가갈 수 있는 대표를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수도권 대표론'도 있다. 내년 총선에서 가장 어려운 곳이 수도권이 될게 뻔하기 때문에 수도권 민심에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이 돼야 한다는 논리다. 홍준표 최고위원이 이에 속한다.
복잡한 당내 역학관계를 조정하기 힘들 경우 '관리형, 화합형 대표'로 갈 가능성도 크다. 친이계와 친박계 양쪽이 다 수용할 수 있는 인물로 대표를 세운 뒤 연말쯤 차기 대선주자들로 선대위를 꾸려 총선을 치르는 방법이다. 김무성 원내대표,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후보가 될 수 있다. 친박계 6선인 홍사덕 의원도 친이계가 동의하면 가능하다. 외부 명망가를 영입하자는 주장도 같은 맥락에서 거론된다.
정녹용기자 ltre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