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전사고로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오염 공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안전성 확보 차원에서 방사성 물질 검역 컨트롤타워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의 역할이 강화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사단법인 한국해양산업협회(대표 김종열·부산일보 사장)가 해양분야 CEO 및 전문가들로 조직한 MHN(Marine Honors Network)의 ‘Sea-food Valley 조성팀(팀장 남택정 부경대 교수)’은 최근 부산일보 10층에서 ‘국내 수산물 안전 검증 토론회’(사진)를 갖고 수산물에 대한 방사성 오염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이날 주제발표자로 나선 이주운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과학연구소 박사는 “극미량의 방사능비를 맞은 시금치보다 해류에 따른 어군(魚群) 이동으로 몇 십 년 뒤 수산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을 때가 더 문제”라며 “식약청이 다원화된 오염감시체계를 총괄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공식 창구가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박사는 특히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기준에 준하는 국제표준 규제기준을 관리시스템에 도입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기준을 우리나라에도 적용해야 표준에 의한 분석이 가능하다”며 “국내 농수산물에서 검출된 방사선 수치는 기준치(370㏃/㎏)의 100분의 1 이하로 국제적 기준치 적용이 불가능할 정도”라며 국제기준과 동떨어진 국민적 불안감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도 방사성 물질 오염 규제기준의 세분화 및 국민 섭취형태를 고려한 규제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윤호동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은 “우리는 일상생활에서도 방사선을 접하고 있고 극미량은 건강에 도움이 되기도 하는데 농수산물에서 이렇게 미미한 방사능 수치로 위협을 느껴 수입을 하지 않는다면 통상ㆍ무역 마찰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토론자들은 최근 수산물 소비 급감으로 나타나는 방사능 공포는 비과학적인 예측성 정보가 조장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따라 식약청이 방사능 검사 결과 및 일본, 미국 등 주요 국가의 조치 내용과 동향을 수시로 국민들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류홍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회장은 “해류와 어군 이동 등 과학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은데도 항간에는 근거 없는 정보들이 활개를 치고 있다”며 “농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식약청 등 유관기관의 홍보와 책임 있는 언론보도가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상민 사조대림 부산공장장은 “과학적 근거와 동떨어진 언론보도로 국민들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조성한다면 이를 제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종범 부산시 수산진흥과장은 “수산식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지자체를 비롯해 관ㆍ학ㆍ언ㆍ연이 협력해 국내 수산물의 안정성을 보여줄 수 있는 행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모임에는 정보영 한국수산과학회 회장, 김대식 부경대 산학연협력센터장, 안동현 부경대 식품공학과 교수 등 국내 수산업계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김창배기자 kimc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