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신저 소동
"등 떠밀려 싸운 격이에요.""하지도 않은 얘기들이 사실처럼 퍼지면서 사태가 눈덩이처럼 커졌어요."
최근 며칠 동안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모바일 메신저 소동에 대해 정작 당사자인 모바일메신저 업체들과 이동통신업체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모바일 메신저란 스마트폰에서 고정형 무선인터넷(와이파이)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문자로 실시간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서비스다.
소동이 일어난 원인은 이동통신업체들이 모바일 메신저를 차단할 것이라는 소문 때문이었다. 처음에는 스마트폰용 일개 응용 소프트웨어(앱)에 불과했던 모바일 메신저가 이용자 1,000만 명을 넘어설 만큼 무섭게 성장하면서 이동통신업체들의 와이파이나 이동통신망에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주장이었다.
이 같은 소문 때문에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이동통신업체를 성토하고 나섰고, 인터넷은 모바일 메신저 VS 이동통신업계의 싸움터처럼 변하고 말았다.
"등 떠밀려 싸웠다"
그런데 실상을 알고 보면 말이 말을 만든 싸움이었다. 대표적인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인 카카오톡 이용자가 1,0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이통사들이 망 부담에 대한 고민에 빠졌다는 얘기가 흘러 나오면서 사건이 커지기 시작했다. 일부 언론은 여기에 '카카오톡 차단'이라는 제목을 붙여 불을 더 지핀 꼴이 됐다.
여기에 일부 네티즌과 언론이 사회관계형서비스(SNS)를 통해 소문을 확대 재생산했다. '카카오톡 월 1,900원 유료화 결정''다음달부터 유료화 전면 시행' 등 황당한 소문이 그럴 듯하게 포장돼 인터넷에 퍼졌다.
순식간에 이통사와 카카오톡의 대결구도가 됐다. 그렇지 않아도 통화료가 비싸다는 원성을 듣던 이통사는 악당이 됐고, 휴대폰에서 건당 20, 30원을 받는 문자메시지를 무료로 보낼 수 있게 해준 카카오톡은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영웅이었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두 번 억울 한 셈이다. 카카오톡 탓에 매 달 엄청난 양의 문자 메시지 수익이 줄어드는데 하지도 않은 얘기로 욕까지 먹었다. 표현명 KT 사장은 카카오톡의 유료화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니, 이통사들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데 유료화 얘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한다"며 어이없어 했다. 그는 "카카오톡이 실제 망 부담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그렇게 쉽게 막을 수 없는 일 아니겠냐"고 덧붙였다.
SK텔레콤도 마찬가지. SK텔레콤은 올 초부터 카카오톡과 유료화나 차단이 아닌 메시지 분산 전송 등의 대안을 검토했을 뿐이다. 최근 대안으로 주목 받은 푸시 서버(AOM) 신설도 이런 논의 속에 나왔다. AOM은 카카오톡이 보낸 메시지를 임시 보관했다가 순차적으로 전송해 과도하게 몰리는 데이터를 분산시켜 준다.
협박전화까지 등장
이 와중에 카카오톡은 협박 전화까지 받았다. 박용후 카카오 이사는 최근 술 취한 남성의 전화를 받았다. "카카오톡이 보안에 취약해 해킹당했다고 세상에 알리겠다"는 것이 협박 전화 내용이었다. 박 이사는 "모바일 메신저 소동에 편승한 사실무근의 협박 전화였다"며 "한동안 마음 고생이 너무 심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데이터 분쟁, 해법이 없다
비록 싸움의 실상은 어이없는 뜬소문이었지만 불씨는 남아 있다. 여전이 이통사들은 망에 부담을 많이 주는 각종 스마트폰 서비스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다. 그에 비해 뾰족한 답은 없다. 이렇게 되면 지난해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꺼내든 이통사들은 후회막심 일 수 밖에 없다.
반면 카카오톡 등 모바일 메신저 업체들은 이통사들이 주장하는 망 부담에 동의하지 않는다. 카카오톡의 박 이사는 모바일 메신저가 이동통신망 이용량의 80%를 차지한다는 주장에 대해 "어디서 나온 수치인지 모르겠지만 쏟아져 나오는 소문에 일일이 대응하기 힘들다"며 부인했다.
이번 소동으로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무선인터넷 이용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통사가 스마트폰 확대로 증가하는 망 부담을 해소하고, 이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해법을 찾지 못하면 유사한 소동이 되풀이 될 수 있다.
채희선기자 hscha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