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27 재보선을 앞두고 여론조사 회의론이 불거지고 있다. 같은 날에 같은 지역 유권자를 대상으로 조사했지만 조사 결과는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여론조사기관들은 표본의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한 신기술을 내놓고 있지만 민심의 왜곡 현상을 바로잡기는 쉽지 않다.
1992년 대선을 전후해 우리나라에서 여론조사가 대중화된 이후 가장 많이 활용돼온 방식은 전화면접과 전화자동응답(ARS) 조사였다. 전화면접은 상담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질문하는데 비해 ARS는 기계에 녹음된 질문을 들려준다. ARS는 기계음에 대한 거부감 탓에 응답률이 떨어지는 대신 익명성이 보장되는 만큼 야당 지지층 의사가 좀 더 반영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전화를 받은 사람 중에 5% 가량만이 대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화면접은 ARS에 비해 응답률(15~20%)이 높은 반면 솔직한 답변을 얻어내기 힘들다는 단점도 갖고 있다.
두 방식의 결정적 단점은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집전화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이다. 여론조사 기관들은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집전화를 갖고 있는 가구 비율이 30~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전화번호부 등재집단과 비등재집단 간 정치성향 차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도입된 방식이 임의 전화번호 걸기(RDDㆍRandom Digit Dialing)다. 미국 등에서 보편화된 RDD는 지역번호와 국번 이외 마지막 네 자리를 컴퓨터에서 무작위로 생성한 뒤 전화를 건다. 전화번호부 등재를 기피하는 젊은층 등의 표심을 반영해 표본의 대표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RDD 방식 역시 휴대전화를 가진 사람이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에서 결정적 문제를 갖고 있다. 조사 비용도 ARS보다 약간 더 들어간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RDD 방식은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인터넷 전화나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젊은 층이 여전히 제외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휴대전화를 활용한 여론조사 방법을 도입하자는 의견도 있다. 무엇보다 휴대전화만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25% 가량의 유권자층 여론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반면 국번이 있는 일반전화와 달리 실제 해당 선거지역 거주자인지 특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걸림돌도 있다. 특히 사생활 침해 여부가 논란이 될 수 있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프라이버시에 예민한 우리 국민 정서상 거주지 등의 개인정보가 여론조사기관이나 정당에 제공되는 것을 용인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온라인 방식의 경우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설문을 꼼꼼히 보면서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려는 온라인 사용인구만 조사에 참여해 대표성이 약하다. 조사원이 직접 용지를 준 뒤 비밀을 보장한 상태에서 표기하는 직접면담 방식은 정확도가 가장 높지만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게 단점이다.
장재용 기자 jy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