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동남권 신공항 입지선정 발표를 앞두고 정부의 심리적 압박도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정부의 선택지는 세 가지. ▦가덕도냐 ▦밀양이냐 아니면 ▦둘 다 탈락이냐. 하지만 어떤 결론을 택하든 메가톤급 후폭풍은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일단 선정과정의 잡음이나마 최소화하고자 철통보안과 함께 갖가지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나섰다. 일단 국토해양부는 27일 동남권 신공항 입지평가위원회와 별도로 세부평가 항목별 점수를 산정할 입지평가단을 구성, 당사자들에게 통보했다고 밝혔다. 평가단에는 항공ㆍ교통ㆍ지역개발ㆍ환경 등 19개 관련 기관으로부터 추천받아 구성됐던 기존 81명의 전문가 풀 가운데 공항운영ㆍ경제성ㆍ사회환경 등 분야별 9명씩 27명이 최종 선정됐다.
이들은 28일부터 합숙에 들어간다. 국토연구원이 작성한 타당성 및 입지조사 용역 결과와 평가항목, 절차 등을 설명 받을 예정이다. 이어 29일에는 두 후보지를 다시 한번 방문해 현지답사와 지자체측 발표를 들은 뒤 30일 오전 세부항목별 최종 평가결과를 내놓을 계획이다. 국토부는 "평가단의 산정 결과에 입지평가위가 별도로 정한 항목별 가중치가 적용돼 30일 오전 최종 결과로 산출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 정부가 처한 현실은 결코 만만치 않다. 특히 사생결단의 각오로 임하는 지자체들의 전투적 태도를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밀양을 지지지한 대구경북(TK)지역 의원들, 가덕도를 지지하는 부산지역 의원들 역시 가만 있을 리 만무하다. 결과를 뒤집으려는 정치권의 시도가 계속될 경우 제2의 세종시 논란이 빚어지고, 관련 부처는 한동안 갖가지 책임론에 시달릴 각오를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정부 내부에서도 '제3의 방안'을 선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바로 백지화 카드. 가덕도 밀양 모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용역결과가 이미 나온 상태인데다, 한쪽 편을 드는 것보다는 정치적 부담도 적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할 경우다. 국토부 관계자는 "평가 항목 심사 후 총점 100점 중 50점을 넘기는 곳이 없다면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 대안이란 김해공항 증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둘 다 떨어뜨려도 리스크는 남는다. 가덕도나 밀양 중 한 쪽을 택할 경우 탈락한 쪽에서만 비판을 받으면 되지만, 백지화 결론을 내리면 경우에 따라 양 쪽 모두로부터 거센 반발을 받을 수 있어 감당해야 할 공세의 크기도 두 배로 커질 수 있다.
이영창기자 anti09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