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섭對 정운찬' 공천싸고 두 갈래 기류 확연개헌 문제·박근혜 전 대표 등 두고도 온도차정동기 감사원장 후보 낙마땐 권력투쟁설까지
4ㆍ27 경기 분당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내세울 한나라당 후보 공천 문제를 둘러싸고 여권 주류 내에는 두 갈래의 기류가 흐르고 있다. 요약하자면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냐, 정운찬 전 총리냐'로 갈라졌다고 할 수 있다. 올해 들어 주요 현안과 인사 문제를 둘러싸고 여권 친이계 내부에서 두 세력이 대치하는 경우가 잦아지자 이를 통해 주류 내부의 권력 갈등 움직임을 엿볼 수 있다는 얘기들이 나온다.
여권 주류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이상득 의원 계보와 이재오 특임장관 계보간 갈등이 이 같은 갈등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의원-임태희 대통령실장 라인과 이재오 장관-안상수 한나라당 대표 라인 간의 대치 전선이다.
실제 이번 분당을 공천 문제에서도 이 장관과 안 대표 등은 정 전 총리 공천에 적극적이었고, 이 의원과 가까운 임 실장 등은 강 전 대표를 지원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이번만이 아니다. 여권 주류 내에서 불거졌던 크고 작은 갈등과 이견의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마주선 양 계보를 어김 없이 만나게 된다.
갈등과 이견의 막후엔 양 계보가 있다
올해 들어 여권 주류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이슈는 개헌이었다. 특히 이 장관은"시대적 과제이고 소명"이라며 총대를 멨다. 계보 의원들을 총동원해 개헌 의총을 이끌었고, 한나라당 내에 개헌특위도 만들었다.
하지만 이 의원계는 개헌에 소극적이었다. 같은 주류라 하기엔 온도 차가 컸다. 사석에선"개헌은 이미 물 건너 간 것"이라며 김 빼는 얘기도 서슴없이 했다. 임 실장도 당에서 개헌특위를 두기로 한 지난달 21일 재외공관장들 앞에서 "개헌은 국회에서 동력을 많이 상실했다"고 말했다.
지난 1월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 낙마 사태를 두고선 양 계보간 권력 투쟁설까지 흘러 나왔다. 임 실장이 정 후보자를 천거해 밀었는데, 이 장관과 친한 안 대표가 앞장서 정 후보자를 낙마시켰다는 게 당시 권력 투쟁설의 요지다. 물론 양측은 손사래를 쳤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는 "감사원장뿐 아니라 각종 인사에서 양측이 미는 인사들이 제각각이어서 이견이 적지 않다"는 소문이 돌았다. 한 정치권 인사는 "공기업 임원 및 은행장 인선에서도 갈등을 빚고 있다는 소문도 있다"고 말했다.
지역적으로 볼 때 이 의원계에는 영남 의원들이 많고, 이 장관 주변에는 수도권 의원들이 결집해 있다.
확연히 다른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입장
양측은 2012년 대선에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정권을 재창출할 것이냐를 두고도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해 차기 대선 지지도 1위를 달리는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생각이 다르다.
"대선주자 문제에 대한 차이가 결국 여러 현안에 대한 이견과 갈등의 근원"이라고 분석하는 여권 인사들이 많다. 여당의 한 당직자는"이 의원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은 대체로 다음 대선에선 박 전 대표를 앞세워 가는 게 순리라고 생각하는 반면, 이 장관계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간 8ㆍ21회동을 주선해 친이계ㆍ친박계 데탕트를 만들어낸 주역은 이 의원계인 임 실장과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이었다.
반면 이 장관은 "대통령 다 된 듯 일하는 것은 국민을 피곤하게 한다"는 등의 언급을 하면서 박 전 대표와 각을 세우는 모습을 보였다. 때문에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에 대한 이 장관 측의 강한 집착, 정 전 총리를 어떻게든 여의도로 데려오려는 움직임 등을 이 장관계의 차기 대안 찾기 일환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재보선 이후 갈등 격화될 수도
이 의원계와 이 장관계의 갈등은 비단 올해만의 일은 아니다. 명실공히 이명박 정권을 만든 양대 축이다 보니 정권 초반부터 갈등이 없지 않았다. 다만 이 장관의 18대 총선 낙선과 미국 행으로 갈등의 전선이 잠시 엷어졌다가 지난해 7월 그의 복귀 이후 다시 뚜렷해진 측면이 있다.
하지만 "지금의 갈등은 오픈게임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있다. 4ㆍ27 재보선 이후 양측의 대결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예상도 있다. 앞으로 이 대통령이 세력 갈등 문제에 대해 어떤 결심을 하고 선택을 하느냐, 재보선 결과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갈등의 폭과 속도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동훈기자 dh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