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그제 백두산 화산 문제에 대한 남북 협의를 제의해왔다.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와 현지답사, 학술토론회 등 협력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남북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혀 가까운 시일 내에 백두산 화산문제를 매개로 한 남북대화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북측의 제안이 갑작스럽고 뜬금 없어 배경에 의구심을 갖게 하는 게 사실이다. 이명박 정부의 강경 자세로 대화 재개가 여의치 않자 마침 일본 대지진으로 백두산 화산폭발 위험성 등에 관심이 높아진 것에 기대어 돌파구 마련을 위한 의제 개발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천안함과 연평도 도발 문제를 우회한 대화공세의 일환이 분명하다면 마땅히 경계해야 한다.
그러나 근래 들어 백두산의 대규모 폭발 조짐에 대한 지질 전문가들의 경고가 잇따른 마당이어서 꼭 그렇게만 볼 일은 아닌 것 같다. 중국과 일본의 연구 자료에 따르면 백두산 일대에서 화산성 지진 발생이 증가하고, 마그마의 상승으로 산 높이가 부풀어오르는 중이라고 한다. 폭발 시기 예측은 어렵지만 일단 폭발하면 한반도 북부는 물론 일본열도까지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대재앙이 될 개연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10세기의 백두산 폭발은 일본 도호쿠(東北) 지역에 5~6㎝ 두께 지층을 만들 정도로 대규모였다.
북한의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 제안은 처음이 아니다. 남북은 10ㆍ4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2007년 12월 남북경제협력 공동위 보건의료ㆍ환경보호 협력분과위 제1차 회의에서 백두산 화산활동 공동연구에 정식 합의한 바 있다. 당시 북측은 지진 관측장비 지원을 우선적으로 요청했으나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 경색으로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그러나 백두산의 재분화가 초래할 어마어마한 피해를 생각하면 공동연구와 대비를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천안함과 연평도 도발 문제는 별개로 밀고 나가면 된다. 이번 일본 대지진으로 자연재해의 무서움을 뼈저리게 실감했다. 작은 가능성이라도 철저히 연구ㆍ조사하고 대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