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리비아 유혈사태 등 ‘포스트 아랍권 대변혁’을 대비해 이들 지역에 보다 적극적인 외교력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중국 학계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리비아 제재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지면서 기존에 중국이 내세워온 내정불간섭 원칙에서 벗어나려는 외교전략 변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명실상부한 주요 2개국(G2)로서 자국만의 이익 추구에서 벗어나 국제사회에 대한 의무와 약속을 중시하는 성숙한 외교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평가까지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변화는 근본적인 외교정책의 전환이기 보다는 아랍권 대변혁 이후를 대비, 경제적 선점을 위한 일종의‘리스크 메니지먼트’인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그 동안 중국이 이들 지역에서 인권과 민주에 배치되는 독재정권과 자원외교 등 경제적 협력관계를 통해 실리를 챙겼다. 하지만 ‘재스민 혁명’으로 외교력이 급거 약화해질 우려에 놓이자 새로운 정부와 적극 협력을 모색해 위기를 기회로 돌려야 한다는 것이 중국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 마디로 새로운 조류에 맞춰 누구와 손잡든 이들 지역에서 경제적 실리를 찾겠다는 속셈인 셈이다.
왕숴라오(王鎖勞) 베이징(北경)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중국은 이미 이번 사태로 북아프리카와 중동 건설현장에서 180억 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며 “이를 돌려받기 위해서라도 중국은 시급히 이 지역들의 새로운 정부채널과 협력을 강화해 경제재건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마오춘(何茂春)칭화(靑華)대 경제외교학연구소 소장은 “이들 지역에 해군력을 증파해서 정치적 입지를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베이징=장학만특파원 loca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