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기사 중동과 북아프리카 민주화 운동이 혼전을 거듭하며 확산되고 있다.
상황이 가장 격해진 곳은 오만이다. 28일(이하 현지시간) AP AFP통신에 따르면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북서쪽으로 200㎞ 떨어진 소하르에서 시위대가 수퍼마켓에 불을 지르고 교차로에 운집하는 등 3일째 반정부시위가 확산되고 있다. 군부는 시위대를 고립시키고 참가자들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무스카트에서 소하르로 통하는 주요 도로를 봉쇄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외신들은 주립병원 관계자를 인용, 27일 시위 당시 경찰이 최루가스와 고무총탄을 쏘며 수백명의 시위대를 해산시키는 과정에서 최소 1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6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카부스 빈 사이드 국왕은 27일 시위 직후 5만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구직자들에게 월 386달러 상당의 혜택을 지원키로 하는 당근을 내놨지만 시위를 잠재우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이집트는 정권을 장악중인 군부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커져 군부와 시위대간 긴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아므르 무사 아랍연맹 사무총장이 대선에 출마할 예정이라고 AFP가 보도했다. 또 이집트 검찰이 28일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 일가의 재산을 동결하고 출국금지 조치를 내리는 등 후속 민주화 조치도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다.
예멘에서는 7개 야당 연합(Joint Gathering)이 3월 1일 대규모 반정부시위를 열기로 하는 등 충돌이 끊이지 않고 있다. 26일 예멘 하쉬드, 바킬 등 2개 부족 지도자들에 이어 27일 야당이 시위에 동참하면서 정권의 운명이 급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평화적 시위를 보장하겠다고 했던 알리 압둘라 살레 예멘 대통령은 "마지막 피 한 방울 남을 때까지 싸울 것"이라며 입장을 선회해 유혈충돌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라크 시위대는 페이스북을 통해 현 정부에 권력을 실어준 총선 1주년을 맞는 3월 4일을 '후회의 날'로 정하고 시위를 벌인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학자와 경영자 등으로 구성된 119명의 지식인그룹이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3월 11일과 20일을 분노의 날로 지정, 정치개혁을 위한 시위에 동참하자고 호소하고 있다.
튀니지에서는 과도정부를 이끌던 모하메드 간누치 총리가 시위대의 퇴진요구에 굴복해 결국 물러났다. 후임 총리는 베지 카이드 에세브시 전 외무장관이 임명됐다.
바레인에서도 수천명이 27일 수도 마나마 중심부에서 정부퇴진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고, 시아파 야당 18명 의원은 반정부 시위대 진압에 항의하기 위해 의원직 사퇴서를 공식 제출했다.
고은경기자 scoopko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