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중동지역 독재정권을 끌어내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성업 중이지만 실제로는 허울뿐이다. 중국 정부가 검열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입맛에 맞는 경우만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은 반정부시위용 SNS차단을 위해 인터넷 통제 강화에 나서고 있다. 그러면서도 페이스북 중국버전인 런런(Renren.com)의 뉴욕증시 상장을 허가하는 등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국이 민주화 물결을 일으킨 SNS나 인터넷 사용을 전적으로 폐쇄하지 않는 것은 '만리장성 방화벽(Great Firewall)'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거대한 인터넷 통제시스템을 믿기 때문이다. 중국은 검열과 통제를 통해 튀니지와 이집트에 민주화 바람을 몰고 온 SNS의 위력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중국은 또 이집트와 튀니지 등 중동ㆍ아프리카 지역 국가들과 달리 경제성장이 빠르고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 이후 민주화 시위 반복을 막기 위해 전통적인 방법과 새로운 방법을 혼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감을 갖고 있다고 한다.
노벨평화상을 받은 류샤오보 박사의 수감과 같은 전통적 방법을 쓰면서도 정치적으로 민감하지만 않으면 인터넷기업을 통한 정보유입을 허용하는 복합적 검열방법을 채택하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중국은 지난 20일 재스민혁명지지 시위 이후 보안등급을 높여 인터넷 상'재스민'이나 연관단어 검색을 비롯, '왕푸징 (王府井)'과 같은 시위관련 단어를 포함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고 있다. 22일에는 철수한 구글 대신 국영 신화통신과 정부소유 휴대폰회사가 제휴를 맺고 인터넷검색사이트(www.panguso.com)를 오픈 했다.
22일 열린 중국 외교부 정례브리핑에서는 재스민혁명지지 시위 관련 논평은 거부한 채 안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단어검색제한에 대한 질문에 마자오쉬(馬朝旭) 대변인은 "중국의 인터넷은 개방돼 있고 다른 나라들과 같이 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다"며 원론적인 답변을 하는 데 그쳤다.
때문에 중국과 홍콩 전문가들은 결국 중국 네티즌들의 온라인 시위가 민주화 운동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고은경기자 scoopko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