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저축은행 4곳과 앞서 17일 영업정지를 당한 2곳은 모두 최소 2달은 지나야 매각여부 등이 결정된다. 지난 달 영업정지를 당한 삼화저축은행과 달리 '속전속결' 처리가 어려운 것은, 이번에 영업정지를 당한 6곳이 모두 갑작스런 대규모 인출사태(뱅크런)로 문을 내렸기 때문이다.
삼화저축은행의 경우 이미 부실이 심해 적기시정조치→자구노력무산→영업정지 수순을 밟았다. 당국이 사전에 부실규모를 파악하고 금융지주사에 인수의사도 타진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마친 상태에서 영업정지를 내렸기 때문에, 한 달만(18일)에 속전속결로 새 주인(우리금융지주)을 찾을 수 있었던 것이다.
반면 이번에 영업정지 당한 6곳은 모두 뱅크런으로 갑작스럽게 영업정지를 내린 것이어서, 절차가 길어질 수 밖에 없다. 예금보험공사 관계자는 "실사와 대주주 회생 노력 등을 바탕으로 정상영업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최소 2개월은 걸릴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중 보해저축은행은 대주주인 보해양조 임건우 회장이 강한 정상화 의지를 밝힌 상태. 임 회장은 19일 "빠른 시일 내에 유상증자를 통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5% 이상을 달성하고 최악의 경우라도 5,000만원 초과분 예금주까지 보호하겠다"는 입장을 목포시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사 후 영업재개가 힘들다는 결론이 내려지면 매각절차를 밟게 된다. 부산 계열 중 ▦중앙부산 ▦전주 ▦대전 등 3개 저축은행은 자산 규모가 1조원에 못 미치는 중소형급 규모여서 매각이 가능하겠지만, 덩치가 크고 회수여부가 불투명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많은 부산저축은행과 부산2저축은행은 다른 곳에 넘기는 것 조차 쉽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일각에서는 부산저축은행 대주주가 증자 등을 통해 자구노력을 하더라도 모든 계열사를 구할 수는 없는 만큼, 한 곳만 살리고 나머지는 포기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만약 대주주도 정상화 노력을 포기하고 시장에서 매각조차 안 된다면 결국 남는 길은 청산뿐이다.
최진주기자 parisco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