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로 구제역이 발생한지 꼭 80일째. 피해액 2조원, 살처분 330만마리를 넘어 사상 최악, 사상 최장의 가축재난이 된 이번 구제역은 처음부터 인재(人災)의 연속이었다. 바이러스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지 못한 축산농가의 책임도 가볍다고는 할 수 없지만, 무엇보다 중앙부터 지방자치단체까지 정부는 그 일차적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초동대응은 허술했고, 위기가 터진 뒤엔 대응 매뉴얼도 없었으며, 죽은 가축을 매몰하는 방식도 허점투성이였다.
경북 안동 양돈농가가 접수한 첫 의심신고가 양성으로 판명된 것은 지난해 11월29일. 그러나 이 농가는 6일전 간이검사에서 음성판정을 받았고, 그 사이 이 농가를 다녀간 축산분뇨차량은 경기 파주를 오가며 전국에 바이러스를 퍼뜨렸다.
문제는 이런 일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 지난해 1월 경기 포천에서 수의사가 똑같은 검사 장비로 의심 가축을 검사했다 음성으로 나와 양성으로 판명될 때까지 손 놓고 있던 것처럼, 이번에도 해당 공무원은 간이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와도 정밀검사를 의뢰해야 하는 기본 의무조차 지키지 않았다.
백신접종 결정시기도 여전히 논란거리다. 정부는 "백신접종은 섣불리 결정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축산농가들은 "12월 중순 경기 곳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해 살처분으로는 확산을 막기에 역부족인 상황인데도 백신접종을 미루다 결국 이렇게 된 것 아니냐"고 정부의 상황 판단력을 비판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 정민국 연구원은 "바이러스 감염 뒤 일정 기간 후에 생기는 항체 검출보다 항원을 확인하는 장비를 사용했어야 했다"며 "기본적인 매뉴얼만 잘 지켰더라도 이렇게까지 피해가 확산하는 것을 막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살처분 가축의 허술한 매몰은 이제 2차 환경재앙까지 예고하고 있다. 묻는 데만 열중했지, 그 한달 뒤 무슨 일이 벌어질 지는 생각조차 하지 않은 셈이다. 구제역은 시작부터 종결까지 모든 게 난맥상 그 자체였다.
박민식기자 bemyself@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