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역대 선거에서 가장 주목을 끌었던 변수는 인터넷 도입이었다. 2002년 16대 대선 당시 인터넷은 20~30대 젊은 유권자들을 동원하고 규합하는 매개체 역할을 담당했다.
우선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인터넷을 통해 노풍(盧風 ∙노무현 바람)이 확산됐다. 또 대통령선거에서도 인터넷과 휴대전화를 통해 젊은층의 투표를 독려하는 글들이 쏟아지면서 결국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57만여표 차이로 누르고 승리했다.
2010년 6월 지방선거에서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을 기반으로 한 ‘트위터’물결이 투표율을 높이는 등 큰 영향을 미쳤다.
앞서 TV토론회도 1997년 15대 대선 때부터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15대 대선 당시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결과에 불복해 탈당한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는 TV토론회에서 선전해 492만 표를 얻었다. 이로 인해 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39만표 차이로 누르고 이길 수 있었다.
반면 2007년 대선에선 인터넷의 위력이 크지 않았다. 5년 전과 달리 세대별 투표 성향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은데다, 진보세력의 주요 활동 무대였던 인터넷 공간에 보수진영 지지자들도 적극적으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2005년 선거법 개정으로 투표 가능 연령이 만19세로 낮아지면서 2006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에 19세층이 새로운 유권자로 편입된 것도 중요한 변수가 됐다.
고성호기자 sung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