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실무회담이 8일 오전 10시 판문점 우리측 평화의 집에서 열린다.
국방부는 7일 “이번 회담에 북측은 리선권 대좌(대령급) 외 2명이 참석하고 우리측은 문상균 대령(국방부 북한정책과장) 외 2명이 참석한다”며 “향후 열릴 고위급 군사회담의 의제와 대표단의 급, 일정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사실무회담은 지난해 9월30일 이후 4개월여 만이다.
회담에서는 양측의 첨예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무엇보다 대화 테이블에 먼저 올려놓을 의제에 대한 인식차가 크다. 정부는 지난해 천안함 침몰과 연평도 사태에 대해 북측의 책임있는 조치와 재발방지 약속이 먼저 이뤄져야 본회담인 고위급 군사회담으로 갈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북측은 자신들의 소행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천안함 침몰 후 북측이 유엔군사령부와의 7차례 실무회담을 가졌지만 아무 성과없이 결렬된 것도 그 때문이다.
고위급 회담 대표단 구성도 꼬일 수 있다. 전례에 비춰볼 때 북측이 김영춘 인민무력부장을 내세울 것으로 보이지만 75세의 고령인데다 건강이 좋지 않아 바뀔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김영철 정찰총국장이 대타로 거론되는데 문제는 그가 천안함 폭침의 배후로 지목돼 미국의 대북제재 명단에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군 고위관계자는 “천안함 사태는 누가 봐도 명백한데 국방장관이 김영철과 회담하는 건 어렵지 않겠느냐”고 난색을 표했다.
5일 월남한 북한 주민 31명의 신병처리도 변수가 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당초 의제로 고려하지 않았지만 갑작스런 사고가 생겼으니 어쨌든 북측이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본다”며 고민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 국방부가 “회담에 공동 취재단을 구성하지 않고 기록요원으로 군 매체 2명만 참석한다”며 “회담이 끝나면 결과를 설명하거나 보도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각종 사안에 대해 북측의 돌발발언이나 강경입장 표명이 우려돼 언론의 접근을 막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방부는 지난해 9월 실무회담 때는 대표단 모두 발언까지 공개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