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2015년 말 스텔스 기술을 갖춘 5세대 전투기가 우리 군 실전에 배치될 전망이다.
정부 소식통은 30일 “스텔스기를 도입하는 차세대 전투기(FX 3차)사업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는 정부 내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관진 국방장관도 최근 방위사업청의 보고를 받으며 차세대 전투기 사업을 무리 없이 추진할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스텔스 기술은 적의 레이더 망에 포착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로, 이 기술이 적용된 스텔스 전투기는 핵무기, 고성능레이더 등과 함께 전략무기로 분류된다. 당초 차세대 전투기 사업은 올해 국방예산에서 사업착수금이 제외되면서 당초 목표대로 2016년 전력화하는 것이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최근 북한의 잇단 도발에 따라 북한의 비대칭전력에 대응할 공군의 정밀타격능력이 절실해진데다, 중국 등 주변국의 스텔스 전투기 개발ㆍ도입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군 당국과 정치권에서 ‘당초 계획대로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지금까지 스텔스 기술을 가진 나라는 미국뿐이었지만, 지난해 12월 러시아가 스텔스 전투기 실제 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힌데다 지난 11일에는 중국이 스텔스 전투기 ‘젠-20’을 시험비행했다.
정부 소식통은 30일 “지난해 북한 서북도서 도발로 공군의 정밀타격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돼 차세대 전투기사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정부 내 목소리가 커졌다”고 밝혔다.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도 이같은 이유로 지난해 12월 6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차세대 전투기 도입 사업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방위사업청은 올해 상반기 사업추진전략을 짜고, 6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 승인을 거쳐 하반기에 제안요청서(RFP)를 작성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라면 내년 초 입찰공고를 통해 후보업체로부터 제안서를 받고 각 기종에 대한 시험평가를 거쳐 내년 8월 기종을 선택해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방사청 관계자는 “2012년 국방예산에서 사업 착수금(157억원)이 편성되고, 각 단계의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된다면 이르면 2015년 말 스텔스기를 전력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계약 체결 후 첫 물량을 인수 받는데 걸리는 시간은 3~4년 정도다.
현재 차세대 전투기 도입 후보 기종으로는 록히드 마틴의 F-35, 보잉의 F-15SE,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의 유로파이터 타이푼(개량형) 등이 거론되고 있다.
김혜영기자 shin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