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26일 발표한 올해 고교 신입생의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에 대해 교육계의 우려가 크다. 수준별 시험이 학습부담과 사교육비를 줄여 줄 것이라는 교과부의 기대와 달리, 국영수 교육편중을 심화하고 사교육을 부채질 할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수능의 변별력이 낮아지면 대학이 각종 심화평가를 도입할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상위권 경쟁은 더욱 치열
교과부는 국영수 시험을 쉬운 A형과 상대적으로 어려운 B형으로 나누되, 국어와 수학에서 동시에 B형을 택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장 교사들은 이 같은 개편안이 상위권 학생들의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김혜남 문일고 교사는 “자연계 상위권은 수학B형 국어A형을 택해 다같이 쉬운 국어시험을 치를 수밖에 없다”며 “이들이 중위권과 변별이 되지 않는 국어 점수를 받게 되면 표준편차가 크게 떨어져 대거 재수로 내몰릴 것이다”고 비판했다.
자율고 신입생을 둔 학부모 조미경(45)씨 역시 “B형 과목은 과목대로 난이도 조절에 대비해서 어려운 공부를 더 많이 해야 하고, 쉬운 유형을 선택한 과목도 똑같은 학생끼리의 등수 경쟁이 남아있는 한 힘들게 공부해야 하는 상황은 마찬가지 아니냐”고 반문했다.
기형적 국영수 편중도 우려
이와 동시에 사회 과학 탐구과목의 선택과목이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어든 점이 국영수 과목의 사교육을 더욱 부채질할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박찬구 서울대 윤리교육과 교수는 “영어 수학 등의 과목이야 말로 초등교육 수준에서부터 몰입교육을 시켜야 성적을 올릴 수 있는 과목이라 학생들은 더욱 사교육에 몰두할 것”이라며 “꼭 배워야 할 역사 사회 윤리에 대해서는 아주 편협한 지식만 가지고 졸업하는 비교육적 상황을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윤여탁 서울대 국어교육과 교수는“국영수 한 과목을 쉽게 보면 남는 시간에 다른 과목을 공부하는 것이 현 입시제도 하의 학생들 마음 아니겠냐”고 말했다. 또“국어 시험이 현행보다 쉽다면 고1이나 중3 수준의 문제를 내야 하는데, 의사 과학자가 될 학생은 국어시험을 중학생 수준으로만 치르고 수학에만 몰두하라는 식의 정책은 부작용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동훈찬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정책실장 역시 “국영수 문제풀이식 교육이 학교 수업의 상당부분을 차지한 것이 현 교육과정의 문제점”이라며 “이번 개편안이 이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학 태도 변화 역시 미지수
교과부는 대학입시에서 수능이 차지하는 비중 자체를 줄여 이 같은 부작용들을 해소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입학사정관제 선발 비율 등을 높여 수능 점수 경쟁 과열을 식히겠다는 것. 하지만 교과부가 대학들의 태도변화를 원만히 이끌어낼지 역시 아직까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김혜남 문일고 교사는 “조금이라도 성적 좋은 학생을 뽑으려고 하는 것이 지금까지 대학들의 태도”라며 “특정 과목에서 쉬운 수능을 치러 변별력이 떨어지면, 심층 논술 등을 실시해 학생들의 능력을 가리려고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심층 논술 사교육 등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
서울 소재 고교 국어과 정모(27) 교사는 “교과부는 2014년 수능 안을 지금 시점에 내놓았지만 대학들은 해당 입학전형을 2012년 말이나 돼야 내놓게 된다”며 “그때까지 자신이 A형, B형 중 무엇을 택해야 할지 판단하지 못하는 중하위권 학생들은 혼란스러워 할 뿐 부담을 덜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수능을 어떻게 대학들이 활용하느냐에 따라 학생의 부담이 커질 수도 있고 줄 수도 있다”며 “대학교육협의회 등과 의견조율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혜영기자 shin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