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대립과 갈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장차 중국이 미국을 위협할 유일한 나라로 지목된 가운데, 두 나라는 경제, 정치, 군사문제 등 각종 글로벌 이슈에서 입장을 달리해왔다. 각 사안의 원인 제공자가 누구이든 갈등 배경에 '슈퍼 차이나'가 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견이나 입장 차이로 표현되던 양국 갈등이 수위를 높이며 노골화한 데에는 한반도 긴장사태가 직접적 계기가 됐다. 천안함 침몰 이후 미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의 서해 훈련을 놓고 미중은 전에 없이 격한 설전을 주고 받았다. 이런 대립이 연평도 사태에서 반복되면서 한반도가 두 열강의 싸움터가 돼 남북이 대리전을 치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됐다.
경제에서 양국은 무역갈등과 환율전쟁이라는 현안을 갖고 있다. 사상 최대 무역적자에 허덕이는 미국은 그 원인이 중국의 인위적 환율정책 때문이라는 시각을 거두지 않고 있다. 중국은 6,000억달러 규모인 미국의 2차 경기부양책에 대해 "돈을 찍어내 빚을 갚는 것"이라며 "이야말로 환율조작"이란 비난을 가했다. 양국은 또 세계 각 지역에서 에너지와 자원 확보를 놓고 경쟁과 대립을 벌이고 있다. 대만이나 티베트 문제, 중국 인권문제 역시 미중의 첨예한 갈등사안이다.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劉曉波)의 노벨 평화상 수상문제는 그 대립 전선을 중국 대 서방으로 확대시켰다.
중일 간 센카쿠(尖閣)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ㆍ釣魚島) 문제를 비롯해, 중국이 전에 없이 주변국에 공격적이며 갈등을 유발한다는 지적도 있다. 세계 경제 2위인 G2에 등극한 올해 들어 힘의 외교를 구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이 같은 패권화 우려를 부인하며, 각 사안의 뒤에 버틴 미국을 비난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부러진 화살'로 표현되는 미국의 대(對)중국 해상봉쇄선의 탈출구를 찾고 있는 만큼 주변국과의 갈등은 확대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경제를 뒷받침할 자원과 교역 수송로 확보는 중국의 경제와 안보에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군사적인 면에서 압도적인 미국에 대해 중국이 도전하지 않는 상황에서 양국 갈등이 대치 또는 긴장국면으로 번질 가능성은 낮다고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는 예상했다. 또 경제 현안의 경우 양국이 서로를 필요로 하는 만큼, 정상회담 등을 통해 협력의 틀을 만들어 낼 것이란 낙관론도 적지 않다.
이태규기자 t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