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세계문학전집 '다양성 함정'에 빠졌나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세계문학전집 '다양성 함정'에 빠졌나

입력
2010.12.19 12:07
0 0

민음사, 을유문화사, 열린책들, 문학과지성사, 문학동네, 창비, 푸른숲, 시공사, 책세상, 펭귄클래식코리아 등 여러 출판사들이 세계문학전집을 동시다발로 내고 있는 요즘은 정음사, 을유문화사, 신구문화사 등의 세계문학전집이 시장에서 호황을 누렸던 1960~70년대에 비견할 만하다. 이른바 ‘제2의 세계문학전집 붐’으로 불리는 이런 현상에는 문학 고전의 독자 저변을 넓혔다는 긍정적 평가 한편으로, 구미 편중의 작품 목록, 같은 작품의 중복 번역, 수요를 넘어선 전집 난립 등 부정적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번역비평학회(회장 전성기 고려대 교수)가 지난 18일 숙명여대에서 개최한 심포지엄 ‘세계문학 전집의 번역의 의의와 전망’은 국내 세계문학전집 출간의 의미와 문제점을 다각도로 짚은 자리였다. 윤지관 덕성여대 교수의 기조강연에 이어 제1부에서는 장은수 민음사 대표와 을유문화사 전집 편집위원인 신광현 서울대 교수, 제2부에서는 번역가 이세욱씨와 문학평론가 조영일씨, 조재룡 성균관대 교수가 각각 발제했다.

특히 2부에서는 현행 세계문학전집 출간 양상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조영일씨는 “세계문학전집이 화제가 되고 출판사들이 앞다퉈 전집을 내기 시작한 것은 2005년 초로, 전년도 말에 민음사가 전집 100권 묶음을 홈쇼핑에서 판매해 성공을 거둔 무렵”이라며 “현재의 세계문학전집 붐은 출판사들의 기획력보다는 유통구조의 변화에 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씨는 “전집은 마땅히 편집위원들이 서로 합의한 원칙과 철학에 따라 작품 목록부터 확정, 공개하고 그에 따라 출간해야 하는 폐쇄적 출판물”이라며 “지금의 세계문학전집은 한국문학이 지닌 비평적 역량의 총집결이라기보다는, 편집위원을 맡은 언어권별 대학교수들의 분업과 출판사의 상업주의로 인해 작품 목록이 중구난방”이라고 혹평했다.

이세욱씨는 전집들이 같은 작품을 출간하면서 발생하는 재번역을 문제 삼았다. 이씨는 “출판사들이 물량과 구색을 갖추기 위해 재번역에 번역자들을 총동원하고 있다”면서 “재번역된 작품을 보면 번역자의 새로운 해석을 찾아볼 수 없는, 재번역과 개칠(改漆ㆍ덧칠)을 혼동하는 번역이 눈에 띈다”고 일갈했다. 그는 “널리 읽히던 번역이 신역(新譯)에 정본의 자리를 내주는 것이 세계 번역사에서 흔한 일이기는 해도, 우리의 ‘번역 갈아치우기’는 속도와 규모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라며 “‘새로운 세대의 감수성에 호소하는 번역’을 명분으로 앞선 세대의 번역을 싸잡아 매도하는 것은 낭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토론자로 나선 프랑스어권 번역가 정혜용씨도 “문학 번역 평가 프로젝트에 참여해 시대별 번역작을 살펴본 결과 선배 세대의 번역에는 언어 오류는 많아도 그걸 상쇄할 만한 문체의 힘이 느껴지는데 근래의 번역들은 문장이 밋밋하고 맛이 없다”며 “이는 (번역자보다는) 편집자의 역할이 더 커진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룡 교수는 현재의 세계문학전집 붐의 시초라 할 수 있는 민음사 전집이 발행된 1998년 이전 국내 세계문학전집들의 ‘베끼기 번역’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지적하면서 “지금의 세계문학전집 번역은 시장 논리에 충실하면서 얻어낸 독자들의 환대가 아니라, 독자에게 기존 번역본과 확연히 차별된 결과물을 보여주려는 윤리적 자세를 통해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훈성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