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모금액의 80% 정도가 몰리는 연말연시에 직원 비리 파문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임원진을 새로 구성하고 이동건씨를 회장으로 선출했다. 40여 년 간 로터리 클럽을 통해 봉사활동을 하면서 국제로터리 회장직을 맡기도 했던 이동건 회장은 "신뢰회복만이 모금회가 살 길이며, 국민의 성금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겠다"고 말했다.
공동모금회는 이에 앞서 윤병철 회장 등 임원진 전원이 사퇴하고 운영 쇄신책을 발표하는 등 신뢰 회복을 위해 안간힘을 써왔다. 워낙 사회적 질책이 따갑고 모금액까지 뚝 떨어져 충격이 컸던 만큼 모금회가 이번 위기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기를 기대한다.
임원진 사퇴가 해결책 아니다
1998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발족한 것은 정부와 지자체가 맡고 있던 국민 성금 모금 및 관리에 문제점이 드러나고 일부 유용사례까지 적발되자 이를 민간에 맡겨 모금 전문기구로 키워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강했기 때문이었다. 그 후 2009년 말까지 11년 동안의 모금액은 1조8,735억원이나 되었다. 유일한 법정모금기구로 자리잡아 모금액은 해마다 크게 증가했고, 1999년 213억원에서 2009년 3,318억원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국민 성금을 다루는 기구이기 때문에 도덕성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아서 문제가 터질 때마다 엄청난 파문이 일곤 했다. 오해와 과장에서 비롯된 피해도 있었다. 2004년 "국민성금으로 호화 사옥을 매입했다"는 비난이 대표적인 사례다. 기본재산을 이자가 계속 떨어지는 은행 예금으로 두지 말고 건물을 사서 일부를 사옥으로 쓰자는 이사회 결의를 거쳐 매입한 현재의 사옥이 여론의 뭇매를 맞게 된 것이다. 기본재산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은행예금에서 부동산으로 형태를 바꾼 것일뿐 성금을 사용한 게 아니라고 아무리 설명해도 당장은 효과가 없었다.
굳이 6년 전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공동모금회를 키우기 위해서는 관의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다. 그 때 복지부는 모금회를 위해 한마디 해명도 해주지 않았고, 오히려 "책임자는 물러나야 한다"는 압력을 가했다. 사실이 왜곡되어 모금회가 비난을 받고 그로 인해 기부문화가 타격을 입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졌는데, 책임자 물러나라는 말 뿐이었다. 결국 사옥 매입 실무를 담당했던 사무총장이 물러났다.
이번 사태도 임원진 일괄 사퇴로 사태 수습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회장을 비롯한 이사와 감사, 사무총장이 모두 물러났다. 이번 사건은 인천지회에서 일어났고 모금회 자체감사에서 적발되어 면직처리되었다. 물론 국민성금을 다루는 기구에서 직원 비리가 발생하고 부정행위자를 의원면직처리했다는 것은 이중으로 비난 받을 만하다. 그러나 이런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임원진을 물러나게 한다면 공동모금회의 미래는 물론 기부문화의 성장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모금회와 기부문화 동행하게
한해 3,000억원 이상의 기부금을 모아 필요한 곳에 배분하는 모금회의 업무는 전문성과 열의를 가진 CEO를 필요로 한다. 좋은 회장과 사무총장을 찾아 법이 정한 한도 안에서 오래 일할 수 있도록 해야 조직이 발전할 뿐 아니라 조직원들이 안정감을 갖게 된다. 공동모금회법을 제정한 취지가 민간기구 육성에 있는 만큼 관은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모금회 회장이나 사무총장의 거취는 모금회의 결정에 맡겨야 한다.
공동모금회의 성장은 기부문화의 성장과 함께 가는 것이다. 잘못은 크게 채찍질하되 기부문화에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집 태우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 관과 민이 힘을 합쳐서 애정을 가지고 공동모금회와 기부문화를 함께 키워가려고 노력해야 한다.
장명수 본사 고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