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방법은 대화뿐이다. 불법 투쟁과 강경 대립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25일 동안 불법 점거파업을 벌여온 현대차 울산공장 비정규직 노조가 어제 전격적으로 농성을 풀었다. 좀 더 빨랐으면 하는 아쉬움은 있지만, 파국으로 치닫지 않은 현명한 선택이다.
비정규직 노조의 결정에는 불법 장기파업에 대한 회사 측의 고소ㆍ고발과 경찰의 사법처리 방침, 부정적 주변 여론, 농성자의 이탈, 정치권의 평화적 사태해결 요구 등 현실적 요인도 크게 작용했다. 그러나 현대차 정규직 노조의 중재노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노-노 갈등 속에서도 파업 찬반투표 개표까지 미루면서 끝까지 회사와 비정규직 노조를 설득한 것이 주효했다.
이제 대화는 시작됐다. 사측도 법과 원칙 고수라는 기존 입장에서 한 발 물러나 비정규직 노조와 금속노조까지 포함하는 노조 3자 대표를 교섭상대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이 한 둘이 아니다. 사내하청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현대차만의 문제도 아니다. 근본적으로 국내 기업의 고용 여건과 노동시장의 상황 등을 고려해 법적, 제도적 장치로 풀어야 할 과제이다.
그 문제는 일단 접어두더라도 회사가 제기한 고소ㆍ고발과 162억원에 이르는 손해배상 철회, 농성자 고용보장, 비정규직 노조지도부의 신변보장, 불법파견 교섭에 대한 대책 요구 등 노조 3자 대표가 제안한 특별교섭의 의제도 결코 쉽지 않다. 파업으로 인한 피해액 3,147억 원을 회사가 고스란히 감내하라고 무작정 강요할 수도 없다. 자칫 나쁜 전례가 될 수 있다. 그렇다고 비정규 노조에게 모든 책임과 희생을 감수하고 백기투항 하라는 것은 대화와 타협이 아니다.
불법파업 못지않은 진통과 갈등이 뒤따르더라도 인내심을 갖고 회사와 정규직 노조, 비정규직 노조는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어렵게 마련한 기회를 망쳐서는 안 된다. 회사와 정규직 노조의 비정규직 근로자들도 한 식구, 비정규 근로자들의 원청업체야말로 우리 회사라는 말이 진심이기를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