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북한의 연평도 도발은 누가 주도하고 지시했을까. 일단 군사 행동의 정점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있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남측을 정조준한 무력 도발이 몰고 올 후폭풍을 감안하면 최고권력자의 승인 없이 북한 내 특정 조직이 독자 행동에 나설 가능성은 거의 없다. 북한이 도발 직후 인민군 최고사령부 성명으로 반응을 보인 것도 '김정일 주도설'을 뒷받침한다.
대북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재가를 받아 실제 포 사격을 기획한 곳으로 북한 대남공작 총괄기구인 정찰총국을 지목한다. 정찰총국은 북방한계선(NLL)을 겨냥한 두 차례 해안포 사격(1ㆍ8월)과 천안함 공격 등 올해 북한 무력시위의 배후로 빠짐없이 거론됐다.
정찰총국은 지난해 2월 인민무력부의 정찰ㆍ작전 기능 등을 통합, 국방위원회 산하에 신설한 조직으로 업무는 오극렬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을 통해 김 위원장에게 직보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원세훈 국정원장은 4월 국회 정보위에서 천안함 사태와 관련, "북한이 연관됐다면 정찰총국이 했을 것이란 얘기도 있다"고 답변했다.
9월 노동당 대표자회를 통해 인민군 대장,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에 오른 후계자 김정은이 역할을 했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정치적 성과물이 미약한 김정은에게 포 사격과 같은 대외 강경 행보는 단기간에 '강인한 지도자'의 이미지를 심기에 충분하다. 군부의 지지를 얻으려는 김정은이 김 위원장의 결단을 재촉했을 가능성이 있다.
한 대북소식통은 "아직 독자적인 군사 작전 실행 권한이 없는 김정은에게 대남 무력 시위는 선군정치 노선 계승과 지지 기반 확충이란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매력적인 소재"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김정은의 최측근으로 급부상한 리영호 군 총참모장을 주목하기도 한다. 이영화 일본 간사이(關西)대 교수는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 과정에서 리영호가 크게 승진한 데 대해 다른 군 간부들의 반발이 심하다는 정보가 있다"며 "외부 긴장을 조성해 내부 갈등을 해결하려는 목적"이라고 주장했다.
김이삭기자 hi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