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가 이명박 대통령에게 건의한 인재육성방안은 현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인재 양성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라는 정책적 기조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위 '융합형 교육'으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 노벨상 수상으로 기초과학 분야의 발전을 꾀하겠다는 것이다. 대학 국제화 프로젝트도 국내 대학을 글로벌 수준의 대학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겠다는 의중을 담아낸 방안이다.
자문회의는 우선 국내 인적자원의 창의성과 실용성이 떨어지는 이유를 교과과정의 폐쇄성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예컨대 과학 과목의 경우 물리 지구과학 생물 화학 등으로 나눈 단절식 교육 탓에 특정 사안에 연결성이 떨어져 창의력 저하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교과목 통합과 문ㆍ이과 구분을 없애야 한다는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자문회의는 이를 위해 교사의 능력 배양을 요구했다. 교원양성 과정에서 복수전공을 대폭 늘리고 일반화해야 현행 교육이 개선된다는 것이다. 교육의 실용성도 강조했다. 자문회의 관계자는 "언어 교육은 문법이 아닌 말하기와 글쓰기, 듣기가 중심이 돼야 하고 수업 방식과 교과서도 현장 주도형으로 개편해야 실생활 위주의 교육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현행 주입식 위주의 학습량을 20%이상 줄일 것을 요구했다. 학생들이 많은 내용을 짧은 시간에 학습하려다 보니 암기식 교육이 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자문회의가 세계적 인재의 표상으로 내세운 것은 노벨상 수상자다. 최근 막을 내린 서울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가운데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한 나라는 한국을 포함한 6개국에 불과하다는 반성도 이런 목표를 정한 배경이다. 자문회의는 이를 위해'대통령 장학금제(프레지덴셜 펠로십)'대상자 선발을 통한 20ㆍ30대 신진 과학자 육성을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제시했다. 대통령 장학생에게 일정기간(5년) 일자리와 연구비를 지원함으로써 신진 연구인력들이 해외로 빠져나가지 않고 국내에서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준다는 것이다. 최근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의 절반 이상이 30대 이전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현실이 감안됐다.
자문회의는 또 여성 과학자들을 위한 '파트타임 정규직' 제도의 도입도 건의했다. 육아 때문에 연구가 단절돼선 안 되기 때문이다.
자문회의가 제시한 대학 국제화 프로젝트의 주요 과제는 한중일 3국간 '캠퍼스 아시아 프로그램'의 조기 정착, 고등교육의 국제화 확대, 글로벌 수준의 대학평가 인증체제 구축 등이다. 수요자 중심의 대학 혁신이 일자리 창출로 연계된다는 점에서 강도높은 대학개혁을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캠퍼스 아시아'는 서울대(한국)·도쿄(東京)대(일본)·베이징(北京)대(중국) 등 대표적인 3국의 국립대가 상호학점 교류를 인정하는 제도로, 이미 3국 정상들 사이에 상당 수준 합의에 이르러 현실화를 앞두고 있다. 학점 교류 외에 단기연수(6개월~1년), 3개 대학 간 주기적인 순환 학습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박관규기자 ac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