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올렸으나, 금융소비자가 체감하는 예ㆍ적금 금리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을 전망이다. 일부 은행은 오히려 예금금리를 낮추는 것을 고려할 정도다. 금통위 결정에도 불구하고 예금금리 결정 기준인 채권시장 금리가 16일 폭락하는 등 정책금리와 시중금리가 딴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대출금리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 연동되는 속성 때문에 상승 가능성이 높다.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 예금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 지난 12일 예금금리를 최고 0.4%포인트 인상한 기업은행과 우리은행도 당분간 추가 인상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채권금리가 오히려 급락하는 바람에 인상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오히려 예금금리가 인하를 검토 중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수신금리(예금금리)는 이전 3일의 평균 시중금리로 산정하는데, 16일 채권금리 폭락으로 17일자 수신금리는 소폭 떨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대출금리는 CD 연동형의 대출상품의 금리 인상이 유력해 보인다. 이번 달 코픽스(COFIX) 금리는 이미 전달보다 하락한 채로 발표됐고 채권금리가 하락하면 추가 하락도 예상되지만, 16일 CD금리는 0.14%포인트나 올랐기 때문. 주말까지 CD금리 상승세가 유지된다면 다음주부터 CD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그만큼 오르게 된다.
한편 삼성경제연구소는 기준금리가 7월과 11월에 두 차례 총 0.5%포인트 인상되면서 예금이자 증가분을 뺀 가계와 기업의 연간 이자부담이 3조4,000억원 가량 늘어나게 됐다고 추산했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그러나 “한국 채권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공격적 매수세 등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 시중금리가 그만큼 오르지 않을 수도 있다”며 “이 경우 가계와 중소기업 부담은 당초 예상보다 커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진주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