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G20 서울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주요국 정상들과 잇따라 양자회담을 가졌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러시아 등 6자회담 참가국 정상들과의 회담은 6자회담 재개 등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와 관련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3일부터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는 한일 정상회담도 개최된다. 이렇게 짧은 기간에 한반도와 관련된 정상회담이 연쇄적으로 열리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북핵 문제 해결 등 한반도 안정과 평화에 도움이 되도록 회담 성과를 십분 활용해야 함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물론 한미 정상회담 등에서 6자회담의 교착상태를 타개할 수 있는 획기적 돌파구가 마련되지 못한 것은 아쉬운 일이다. 각국은 6자회담 재개에 대한 기존 입장에서 크게 나아가지 못했다. 특히 한미 정상은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여건을 조성하고, 비핵화의 진정성을 행동으로 보여야 6자회담 재개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북한에 호전적인 행동 중단을 촉구하면서 대한민국에 대한 미국의 안보의지가 흔들리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기도 했다. 최근 6자회담 재개 전제 조건에 다소 융통성을 보이는 듯하던 양국의 기류에서 후퇴한 느낌마저 준다.
다만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중국은 남북관계 개선을 일관되게 지지한다"고 한 것은 음미할 만하다. 6자회담 재개에 앞서 남북관계 개선이 중요하다는 한미 양국의 입장과도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그는 북한 지도자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 "남북관계 개선이 한반도 평화안정에 중요하다"고 말한 사실도 소개했다고 한다. 한ㆍ미ㆍ중 3국이 6자회담 재개 분위기 조성 차원에서 남북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공유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북한에 주는 메시지도 작지 않다고 본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한의 책임 있는 태도를 남북관계 개선의 전제로 삼고 있어 상황은 녹록지 않다. 천안함과 6자회담을 연계하지 않는다 해도 남북관계 개선 단계에서 제동이 걸릴 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 정부는 결단을 내려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6자회담 관련국 정상들의 연쇄 양자회담은 이번 G20 서울 정상회의의 성과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모색된 노력들을 헛되게 해서는 안 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