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면제 제도(타임오프) 도입으로 촉발된 노정 갈등이 확산되면서 주요20개국(G20)정상회의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는 1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G20정상회의가 개막되는 11일 KEC노조 사수를 위한 총파업을 하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파업은 지난달 30일 경북 구미시 KEC 1공장에서 노사 대표 협상 직후 경찰이 노조 지도부 체포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김준일 금속노조 구미지부장이 분신한 것이 도화선이 됐다. 김 지부장은 현재 중태다.
금속노조는 우선 3일 간부 3,000여명이 파업한 뒤 KEC에 집결해 아직까지 공장 문을 걸어 잠그고 파업 중인 40여명의 조합원에게 물과 비상식량 등을 전달할 계획이다. 또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가 열리는 7일에는 총파업 출정식을 열기로 했다. 이어 11일 총파업을 시작한 뒤 상황에 따라 파업 일정을 연장할 예정이다.
G20정상회의 기간 집회 중단 원칙을 밝힌 한국노총도 1일 성명에서 “이번 분신 사건은 노조를 탄압하고 와해시키는 데만 열을 올리는 회사와 공권력의 주도면밀한 합작품”이라고 정부를 성토했다.
KEC는 7월 1일 타임오프 시행 직전 노조전임자 수 축소에 반대해 파업을 시작했다. 이후 직장폐쇄 과정에서 회사가 동원한 용역원이 성폭력을 저질렀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노사 관계 선진화를 위해 도입했다는 타임오프의 역효과가 현장에서 커질 대로 커졌는데도 고용노동부는 그간 중재 역할을 하기는커녕 사업장 교섭 현황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빈축을 샀다. 고용부 노사관계선진화실무지원단이 1일 발표한 타임오프 한도 초과 사업장 수(35곳)는 금속노조가 집계한 한도 초과 사업장 수(131곳)보다도 훨씬 적다.
분신 기도와는 무관하지만 민주노총 등 진보 진영의 시민 단체가 다수 참여한 G20대응민중행동의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것도 정부로서는 악재다. 이들은 이날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파키스탄 여성운동가인 칼리크 부슈라가 7~10일 서강대에서 열리는 민중행동 주최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주 파키스탄 한국대사관에 비자 발급을 신청했다가 거부당했다”며 즉각 발급을 요구했다.
노동계 중심의 이 같은 움직임에 따라 G20 경호경비 책임을 맡은 경찰에도 비상이 걸렸다. 서울지방경찰청은 1일 전 관서에 을호비상령을 발령하고 4만5,000명의 경찰력을 G20 경호경비에 단계적으로 동원하기로 했다.
김청환기자 ch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