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채소 값 폭등이 4대강 사업에 따른 경작지 축소 때문이라는 주장을 둘러싼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일부 네티즌과 야당은 “4대강 사업으로 강 둔치에서 재배되던 채소 생산이 줄었다”며 공세를 펴고 있는 반면, 정부는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며 맞받아치고 있다.
최초 의혹은 정부 정책에 비판적인 네티즌들이 제기했다. 이들은 배추 한 포기 소매가격이 1만3,000원이 넘어서는 등 급등세가 멈추지 않자, 28일부터 인터넷 토론방을 중심으로 “4대강 사업의 여파로 경작지 면적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주장했다. 수도권에 채소를 공급하던 한강 수계와 부산ㆍ경남권 시장에 출하를 하던 낙동강 수계의 채소 재배지가 철거된 것이 가격 폭등의 결정적 원인이라는 것.
논란은 29일 정치권이 거들면서 더욱 확산되고 있다. 박병석 민주당 의원이 이날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날씨 탓도 있지만 4대강 사업에 따라 채소 재배면적이 최소 20% 줄어서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동당도 인터넷 등에 게재한 ‘채소 값 폭등의 진실’이라는 글에서 “전체 채소 재배지의 12%, 시설채소 재배지의 20%가 줄었다”며 “4대강 사업 때문에 경작지 자체가 훼손됐기 때문에, 이제 아무리 풍년이 들더라도 채소 가격은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올 4월에는 장상환 경상대 교수가 “4대강 사업으로 전체 농경지의 1.56%가 사라지며, 특히 시설채소 재배 면적은 16%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반면 정부는 의혹 제기 자체가 4대강 사업을 깎아 내리기 위한 근거 없는 정치 공세라고 일축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이날 내놓은 반박 자료에서 “4대강 사업으로 재배면적이 줄었기 때문이 아니라 ▦봄철 저온 ▦여름철 폭염 ▦잦은 강우 등 이상기후가 겹쳐 생육이 불량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또 지금 출하되는 배추는 4대강 유역에서 재배된 것이 아니라 강원 정선군 등 고랭지에서 생산된 물량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정부는 재배지의 12~20%가 줄었다는 네티즌 주장도 잘못됐다고 반박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4대강 둔치 채소 재배면적은 3,662㏊인데 이는 전국 전체 재배면적의 1.4%에 불과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미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 관계자는 “채소 가격이 결정되는 구조에 대한 양측 논리가 워낙 현격하게 차이 나고 일부는 정치공세의 성격까지 띄고 있다”며 “누가 무리한 주장을 펴는지는 이상기온 현상이 사라지고, 호남 지방의 채소 공급이 본격화하는 연말 이후에 판가름 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창기자 anti09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