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대표자회가 28일 평양에서 열린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9월 상순' 개최가 예고됐던 대표자회가 이토록 늦어진 구체적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다. 수해 복구에 정권 차원의 노력이 필요했다거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거나, 후계체제 구축을 위한 북한 정권 내부의 의사 합치에 진통이 따랐다는 등의 다양한 관측이 제기됐지만 어느 것 하나 결정적 뒷받침이 없다.
44년 만에 열리는 이번 대표자회는 본격적 3대 권력세습의 절차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일찌감치 눈길을 끌어왔다. 이미 김 위원장이 지난달 방중을 통해 3남 정은으로 권력을 세습하는 길을 다졌다는 관측이 무성하고, 최근 북한 권력서열 변화 등에서도 모종의 움직임이 감지되고는 있다. 다만 북한 정권의 특성은 대표자회의 대회 뚜껑이 열리기 전에 어떤 예단도 쉬이 허락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궁금증은 그때 가봐야 풀릴 수 있다.
우리는 이런 불확실성이 하루 빨리 제거되길 바란다. 그것이 무엇이든 대표자회를 늦춰야 할 만큼 곤란한 상황의 지속은 결국에는 남북 관계의 불안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가령 3대에 걸친 권력 세습을 보는 눈길은 싸늘할 수밖에 없지만, 김 위원장의 건강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의 권력 혼란이 심화하는 것을 바랄 수는 없다.
더욱이 지금은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싸늘해졌던 남북 관계에 대북 쌀 지원이나 이산가족 상봉 등을 놓고 변화의 실마리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북한의 대미 자세에도 변화 조짐이 보이고 있다. 대미 외교 주역인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이 내각 부총리로, 6자회담 북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이 제1부상으로 각각 승진한 것도 그런 흐름으로 이해된다.
우리는 이런 변화의 기운을 타고 대북 관계를 안정적 관리 아래 두는 것이 대북정책의 당면 목표라고 본다. 북한의 작은 움직임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확고한 안보태세를 기반으로 느긋하게 북한을 지켜보아야 한다. 아울러 수재 복구 지원 등 인도적 손길을 아끼지 않는 것이야말로 긍정적 상황 변화를 이끄는 촉진제가 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