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민족 대이동이 시작됐다. 징검다리 휴일을 포함해 최대 9일까지 쉴 수 있는 올 추석 연휴는 어느 해보다도 귀성 행렬 등 인구의 이동 규모가 클 것이다. 정겨운 얼굴들이 오랜만에 둘러앉는 추석 잔칫상은 정담이 오가는 자리만은 아니다. 우리 사회의 크고 작은 관심사들이 화제에 오르고 정보와 견해의 교환, 치열한 토론이 이뤄지는 자리이기도 하다. 추석연휴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여론이 형성되고 민심이 표출되는 특별한 기간이다. 여야 정치권이 경쟁적으로 추석 민심 잡기 행사를 벌이면서 국민여론의 향방에 안테나를 높이 세우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올 추석 연휴에는 여야가 민심의 흐름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 사안들도 많다. 이명박 대통령이 새 국정화두로 내세운 친서민 공정사회와, 대북 쌀지원 규모, 4대강 사업 등이 그것이다. 이번 추석 연휴를 거치면서 이 사안들에 대한 국민여론이 어떻게 모아질지는 이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 운영과 여야간 정국주도권 다툼에 중대한 변수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여야가 너나 없이 외치고 있는 '친서민'에 대한 바닥 민심의 반응과 심판이 주목된다. 여야가 경쟁적으로 친서민 정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공허한 내용이 많아 일반 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정부ㆍ여당의 친서민 정책은 번듯해 보이나 대부분 예산의 뒷받침을 결여하고 있다. 서민과 중산층을 대표한다는 민주당은 여권의 친서민 공세에 위기감을 느끼고 친서민 30대 정책을 발표하는 등 부산을 떨지만 공허하기는 마찬가지다. 여야가 내실 있는 서민정책 경쟁보다는 포퓰리즘 경쟁을 벌인다는 비판이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여야 정치권은 추석 연휴기간에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고 와야 한다. 자신들이 내세운 정책과 아젠다를 선전하고 주입하기보다는 열린 자세로 민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 민심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민심이 반영되지 않은 정책과 구호가 생명력이 길지 못할 것은 자명하다. 친서민과 공정한 사회의 출발점도 정확한 민심의 파악에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