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서 귀한 손님들이 대거 찾아왔다. 엊그제 열린 한ㆍ아프리카 장관급 경제협력회의(KOAFEC)에 참가한 35개국 대표단 150여명이 그들이다. 2006년 첫 회의에 대륙 전체 53개국 중 15개국이 참여했던 것에 비하면 장ㆍ차관급 37명이 참석한 이번 3차 회의는 규모에서 우선 돋보이고 경협의 실질적 내용도 크게 풍부해졌다. 아프리카 시장의 성장잠재력에 뒤늦게 눈뜬 정부는 후발주자로서의 장ㆍ단점을 잘 감안해 외교적 경제적 선린관계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기 바란다.
아프리카는 남한 면적의 300배 땅에 인구 10억의 거대한 시장이자 자원의 보고다. '제2의 브릭스(BRICs)'로 기대되는 이 대륙을 향해 유럽연합(EU)과 중국ㆍ일본 등이 갖가지 러브콜을 보내온 이유다. 하지만 식민지 지배의 경험과 아픔을 우리와 공유하는 대부분의 국가들은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한국의 발전모델에 큰 관심을 표시해왔다. 유엔아프리카경제위 사무총장이 "아프리카에 영감을 줄 나라는 유럽도 중ㆍ일도 아닌 한국"이라고 말한 것은 대표적이다.
'한국과 함께 떠오르는 아프리카(RISING Africa together with Korea) 이니셔티브'라는 이름으로 정부가 내놓은 협력방안은 물고기를 직접 지원하는 것과 고기 잡는 법을 전수하는 것 등 두 갈래다.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한 지원규모를 향후 5년간 10억9,000만달러로, 공적 개발원조(ODA)를 2억달러로 늘리는 것은 전자다. 새마을운동 등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을 12개국으로 확대하고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중소기업협력센터를 설치키로 한 것 등은 후자다.
하지만 이런 정도의 지원으로는 아프리카 국가의 절대적 호감을 이끌어내기에 미흡하다. 지난해 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한 국가로서 직접적 지원액이 너무 적다. 맞춤형 특화사업도 그동안 해오던 것을 확대하는 수준일 뿐이다.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의장국인 우리로선 아프리카인들의 마음을 움직일 보다 크고 진전된 제안을 찾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