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의 대남 유화 공세가 지난해와 비슷한 행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올해 4월 금강산관광 지구 폐쇄로 위기에 처했던 남북교류는 천안함 사태에 따른 5ㆍ24 대북 제재 조치로 사실상 중단됐다. 3개월여 간의 대치 국면을 겪은 뒤 북한은 돌연 남측에 쌀을 달라고 요청했다. 북한은 곧 이어 대승호를 돌려보내고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하는 등 남측과 대화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보내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5월에도 2차 핵실험을 감행해 고립을 자초하더니 8월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영결식에 맞춰 조문단을 남쪽에 파견해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같은 달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방북은 137일간 개성공단에 억류돼 있던 남측 근로자 유성진씨 석방으로 이어졌다.
또 지난해 8월에는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방북해 밀입북 혐의로 억류돼 있던 미국인 여기자 2명의 석방을 이끌어 냈고, 올해에는 카터 전 대통령이 북한에 들어가 7개월간 붙잡혀 있던 곰즈씨를 데리고 귀국했다. 지난해 12월 북한을 찾았던 보즈워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12일 방한해 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해 분주히 움직이는 것도 유사점으로 볼 수 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도 판박이다. 북한은 지난해 9월 임진강 무단방류 사건에도 불구하고 26일부터 엿새간 남북 이산가족들의 만남을 예정대로 성사시켰다.
이런 점에 비춰볼 때 북한의 다음 타깃은 남북 정상회담이 될 것이란 게 중론이다. 지난해 10월 제3차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임태희(당시 노동부 장관)_김양건(북한 통일전선부장) 싱가포르 비밀 회담설, 11월 통일부 간부와 원동연 통전부 부부장간의 개성 접촉설이 잇따라 터져 나왔다.
올해는 남북 당국간 물밑 접촉설이 벌써부터 제기되는 상황이다. 일본 아사히(朝日) 신문은 12일 남북 고위급 관계자의 개성접촉 가능성을 보도했다. 그 때나 지금이나 정부가 ‘사실 무근’이라며 강하게 부인하는 점도 똑같다.
다만 올해는 남북관계 단절의 원인인 천안함 사태의 직접 피해자가 남측이라는 이유를 들어 연내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낮게 점치는 분위기다. 회담 의제를 놓고 ‘국군포로ㆍ납북자 송환 문제와 대북 식량 지원’이라는 1대1 매칭이 가능했던 지난해와는 확연히 다른 상황이다.
대북소식통은 “만일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 북한은 천안함, 비핵화, 경제난 극복 등 대내외의 어려움을 일거에 해소할 북한식 ‘그랜드바겐'(일괄타결)을 도모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이삭기자 hi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