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하다 마음에 드는 구두를 발견한 줄리 마틴씨는 살까 말까 고민하다 사이트에서 빠져 나왔다. 그런데 이후 바로 그 구두 광고가 마틴씨를 따라다니기 시작했다. 이른 바 웹사이트 방문 기록을 활용한 ‘리타겟팅 광고(Retargeting Ads)’에 걸려든 것이다. 마틴씨는 “몇주간이나 내가 어떤 웹사이트에 가든지 구두 광고가 떴다”며 “꽤 영리한 마케팅 방법이지만 오싹하다”고 말했다.
미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은 31일 일명 스토킹 광고로도 불리는 리타겟팅 광고가 우리 생활 깊숙이 침투해 있다고 보도했다. 이런 고도의 맞춤형 광고는 광고업계의 각광을 받으며 급성장하고 있다. 구매 의사가 있는 사람에게 바로 그 시점에 그 물건을 보여주는 건 가장 효과적 마케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비자 입장에서는 썩 유쾌하지 못하다. 이미 구입했던 물건, 금융상품과 연관된 광고 팝업창이 뜨는 건 구매내역이나 웹서핑 습관이 노출됐다는 반증이다. 인터넷상의 일거수 일투족을 따라잡는 ‘온라인 트래킹(Online Tracking)’은 이용자들 모르게 수년간 행해져 왔다.
사용자의 검색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계속 개발되고 있다. 구글의 ‘웹 히스토리’등 개인 정보이력을 쌓아놓는 것은 맞춤형 정보 검색이 가능한 미래형 서비스로 호평받고 있지만, 악용될 경우 판도라의 상자가 될 수 있다. 많은 이가 찾는 포털에 악성 스파이웨어를 심어 놓고 이를 클릭한 개인의 컴퓨터에 침투, 검색 정보를 빼내가는 기법도 등장한지 오래다.
하지만 이를 제재할 법적 규제가 마땅히 없는 상황이다. 디지털 민주주의 연구소(CDD) 등 미 소비자 단체들은 정부에 인터넷 사용 기록 유출 등 개인의 사생활 노출을 막을 방법을 마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채지은기자 cj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