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 목적과 배경에 대한 대북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소 엇갈렸다. 이들은 다음달 초순으로 예정된 노동당 대표자회 개최를 주목하면서 '수해 지원 요청', '후계 논의' 등 다양한 해석을 내놨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26일 김 위원장의 방중 배경과 관련해 "중국의 긴급 식량지원이 최대 목표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은 당대표자회를 9월 초순에 열겠다고 발표했지만 최근 수해 때문에 축제 분위기에서 개최할 분위기가 전혀 아니다"면서 "현 상황을 시급히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중국의 식량지원과 수해복구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 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의 셋째 아들 김정은 후계 구도 논의와 관련해선 "이미 5월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만났을 때 암묵적으로 지명된 상태"라며 "새삼스럽게 중국 지도부에서 동의를 구할만한 긴급성은 없다"고 분석했다.
반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후계 문제 논의에 초점을 맞췄다. 양 교수는 "중국은 후계 문제와 북핵 문제를 연계해 보고 있는 반면 북한은 두 문제를 분리해 보고 있는데 최근 고위급에서 접점을 찾기 못하자 김 원장이 직접 담판을 짓기 위해서 나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당대표자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축제분위기를 만드는 것으로 후계문제에 대한 중국의 지지와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중국은 후계자 지지와 플러스 알파로 대북지원을 확대하고 북한은 주고받기 차원에서 비핵화 의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 교수는 구체적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직원들의 영변 핵시설 복귀와 핵시설 불능화 조치 재개 등을 꼽았다.
김근식 경남대 정외과 교수는 북핵 문제와 관련한 김 위원장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의 담판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중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가 최근 평양을 방문했을 때 북핵 논의 과정에서 획기적인 새로운 제안이 나와 최고위급에서 급하게 논의할 필요성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체제 안정을 위한 대규모 수해 지원의 절실함을 방중 배경으로 지목했다. 화폐개혁 실패로 권력층 내부에 갈등이 발생한 데다 최근 대규모 수해로 민심이 이반되면서 물자를 통한 통제가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윤 교수는 "군부 등 기득권 세력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김정은을 지지하는 새로운 권력이 화폐개혁을 단행했지만 실패하면서 유일 지배체제에 틈이 벌어졌다"며 "3대 세습을 위해 당 대표회의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수해까지 일어나면서 민심이 흉흉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김정은 체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중국의 대규모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성호기자 sung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