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가능성이 무궁한 녹색 기술 관련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훨훨 날아 오를 수 있게 날개를 달아주고 싶습니다. 녹색인증이 바로 그 날개가 될 것입니다."
김용근(사진)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은 18일 미래 녹색 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녹색인증제도를 이끄는 사령탑으로 어깨가 무겁지만 그 만큼 책임감도 느껴진다고 했다.
녹색인증은 뛰어난 기술력이 있어도 충분히 뒷받침을 못받는 녹색 기업들에게 세제 혜택, 금융 지원, 정부 발주공사 우대, 병역 특례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뜻에서 정부가 지난해 7월 이후 추진해온 것이다.
김 원장은"녹색 기술 관련 사업은 기술 개발이 가능한 지, 그 기술이 사업성이 있는 지등 불확실성이 크다 보니 충분한 투자를 이끌어 내기가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비과세 녹색금융상품이 있지만 조세특례법상 투자 대상이 녹색사업 및 녹색전문기업으로 한정돼 있던 탓에 금융권은 '상품을 내놓고 싶어도 투자할 곳이 없다'는 하소연을 해왔다. 김 원장은 "정부가 나서서 기술력과 사업성이 충분하다는 '보증'을 해주고 이를 통해 금융권이나 민간이 믿고 투자할 수 있도록 해보자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인증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지 여부를 가리는 게 바로 Kiat의 몫"이라는 김 원장은 "세계 어디를 내놓아도 손색없는 기업을 골라야 하는 만큼 검증은 치밀하다"고 덧붙였다. 인증은 ▦녹색기술 ▦녹색사업 ▦녹색기업 3가지로 나눠지는데, 인증을 받으려면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로 꾸려진 심사위원단과 전문연구 기관의 까다로운 심사와 검증을 통과해야 한다.
김 원장은 "요구하는 기술 수준이 너무 높은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로 있지만 인증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며"지금껏 대부분 인증제가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이유가 충분한 검증 없이 남발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중소기업 지원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는 게 김 원장의 설명. 그는 "3가지 인증 중 가장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녹색기업의 경우 '전체 매출의 30%가 녹색 관련 기술 및 사업을 통해 얻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며 "이는 결국 여러 사업을 진행하는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나 녹색 기술 관련 사업에 집중하는 전문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11일 정부가 종합선물 세트 형식의 녹색인증 활성화 방안을 내놓자 마자 인증 신청 기업과 문의 전화가 2배 이상 늘었다"며 "올해 말까지 각 부처가 관련 법 개정, 제도 보안 등을 마무리 하면 내년부터 더 빨리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박상준기자 buttonpr@hk.co.kr
사진=신상순기자 s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