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루마니아에서 차우셰스쿠 독재를 뼈저리게 경험했고 그 나라가 무너지는 걸 망명지인 독일에서 똑똑히 봤습니다. 하지만 문학이란 그런 경험을 고발하거나 변형하는 것이 아닙니다. 문학은 굉장히 작은 사물에 대해 쓰는 것이고, 스스로 분명해지기 위해 자기와 대화하는 것입니다. 나는 조용히 모든 것을 글 속에 넣을 뿐, 그것이 고발문학이 될지는 읽는 사람에게 달린 것이죠.”
지난해 노벨문학상 수상자 헤르타 뮐러(57)가 처음으로 방한, 16일 중앙대 서울캠퍼스에서 열리고 있는 국제비교문학대회에 참석해 특별 강연을 하고 국내 언론과도 간담회를 가졌다. 150㎝ 남짓해 뵈는 작은 체구에 검은색 정장을 입은 뮐러는 환영하는 청중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시종 풍부한 표정으로 이야기를 하는 등 내성적이라고 알려진 것과는 사뭇 다른 밝은 모습을 보였다.
뮐러는 자신이 소설에 즐겨쓰는 소재를 나열한 ‘이발사, 머리카락, 그리고 왕’(The Barber, the Hair and the King)을 특별 강연의 제목으로 삼았다. 그는 40분가량의 강연에서 자신의 경험을 사례로 독재 치하의 루마니아에서 공고한 감시체제가 일상에 구축되는 메커니즘을 공들여 설명했다.
그는 누군가 자기 집을 거리낌없이 드나들며 동태를 감시하고 자신이 자주 만나는 사람들이 경찰 끄나풀 노릇을 하는 것을 발견한 경험을 전하면서 “이러한 일상 가운데 천천히, 조용히, 그리고 자비심도 없이 낯익은 거리와 벽과 사물들 속에서 낯선 시선이 생겨났다”며 도처에서 감시받는 듯했던 당시의 공포감을 말했다. 뮐러는 또 “이러한 모든 외적인 상태에 반항해서 내면에서 삶의 욕망이 자라나는데, 나는 그것을 지칭하기 위해 ‘마음짐승’이라는 이름을 생각해뒀다”며 한국에도 번역 출간된 대표작 의 제목의 유래를 밝히기도 했다.
기자간담회에서 뮐러는 “어제(15일) 서울시내 호텔에 머물며 광복절 행사를 창 밖으로 보면서 북한 독재와 이렇게 가까운 거리에 민주주의가 살아있다는 것에 경탄했다”며 “북한은 끔찍한 괴물 같은 국가로 역사에서 미끄러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차우셰스쿠는 북한을 여러 차례 방문하며 김일성에게 배운 것을 통치에 활용했다”며 “내가 노벨문학상을 타서 가장 잘된 일은 사람들이 독재에 대해 많이 얘기하게 됐다는 것”이라고도 말했다.
작가로 데뷔한 지 28년이 된 뮐러는 “루마니아에서 살 때는 늘 불안하고 쫓기는 느낌 때문에 짧은 텍스트로 소설을 썼는데, 독일로 망명(1987년)한 뒤로는 그보다 긴 텍스트를 쓰게 됐다”며 “하지만 내 작품은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보통 사람이 이만한 세월에 겪을 만한 변화 이상으로 특별히 달라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노벨문학상을 받은 뒤 글을 쓰려고 종이 앞에 앉기가 힘들어질 만큼 외관상으론 많이 변했지만, 나는 여전히 똑같은 사람이고 변하고 싶지도 않다”고 밝혔다.
뮐러는 18일 서울여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고 또 한 차례 강연을 하며, 19일 광화문 교보빌딩과 20일 독일문화원에서 각각 열리는 문학행사에 참석한 뒤 21일 출국한다.
헤르타 뮐러가 16일 중앙대 서울캠퍼스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열린 국제비교문학대회에 참석해 강연하고 있다.
이훈성기자 hs0213@hk.co.kr
신상순기자 ssshin@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