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3일 관료사회 안정 등 실무적 요인, 측근 및 여권 인사를 배려하는 정치적 요인 등을 두루 고려해 차관 인사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실무’에 ‘실세’를 절충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청와대는 차관 인사의 특징을 부처 안팎의 소통 강화, 공직사회 안정 및 사기 진작, 외부 전문가의 과감한 발탁, 장관 및 장관 후보자의 의견 수용 등으로 요약했다.
소통 강화는 가령 장관이 부처 내부 인사일 경우 차관에 외부 인사를 임명하고, 장관이 외부 출신 인사일 경우 차관을 내부 인사로 충원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정치인 출신인 맹형규 장관이 있는 행정안전부의 경우 제1, 제2차관 모두 부처 내부 승진자들이다.
또 관료들을 대거 승진시키면서 인사 적체 불만이 컸던 관료사회를 다독였다. 류성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 등 13명의 관료가 승진했다. 국토해양부의 경우 1급 인사 3명이 차관에 올랐다.
해당 부처 장관과의 호흡도 감안됐다. 경남도 정무부지사를 지낸 안상근 국무총리실 사무차장은 김태호 총리 후보자의 측근이며, 김해진 특임차관의 경우 이재오 특임장관과 가깝다.
직급에 상관 없이 능력을 우선시하는 이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도 드러났다. 부산시 교육감을 세 번 지내 풍부한 일선 교육행정 경험을 지닌 설동근 전 교육감이 교육부 차관에 발탁됐다.
아울러 청와대 대변인 출신의 박선규 문화부 제2차관, 18대 총선 당시 충남 공주∙연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한 오병주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 등 지원위원회’ 위원장, 친이계 인사인 김해진 특임차관 등 여권 인사를 챙긴 것도 눈에 띄는 특징이다.
23명의 차관급 인사를 지역별로 보면 경북 5명, 경남 4명, 부산 2명 등 영남권 출신이 11명이다. 이에 따라 지역 편중이 심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반면 서울, 충청, 강원, 호남 출신은 각각 3명이다.
이런 특징들을 종합해보면 이 대통령은 전체적으로 업무 연속성과 관료사회 안정을 기하면서도 집권 후반기 국정 장악력 강화를 위해 친정체제의 빛깔을 보다 강화했다고 볼 수 있다.
이영섭기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