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이사 체제의 다른 대학들의 정상화는 어떻게 될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소속의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가 9일 상지대 옛 재단 측 인사 4명을 정이사에 선임하는 내용의 상지대 정상화 방안을 확정하자 다른 정상화 추진 대학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임시이사가 파견된 이들 대학의 옛 재단 측은 '상지대 효과'를 은근히 기대하고 있으나, 학내 구성원들은 "비리 등 문제가 있었던 대학에 학교를 넘겨줄 수는 없다"고 벌써부터 반발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사분위의 상지대 정상화 관련 결정이 지난해 12월 세종대 정이사 선임의 연장선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종전이사에게 정이사 과반수의 추천권을 준다'는 사분위의 정이사 선임원칙이 세종대에 이어 상지대에도 그대로 적용됐다는 것이다. 물론 상지대의 경우 학내 구성원들의 거센 반발을 감안해 김 전 이사장를 정이사로 선임하지 않은 게 두드러진다.
교과부 관계자는 "사학 정체성을 지켜주기 위해 종전이사들에게 운영권을 확보하게 한다는 것이 사분위의 기본 원칙으로 보인다"며 "이런 점을 감안하면 임시이사가 파견된 대부분의 사학에서 설립자가 종전이사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옛 재단 측에 운영권이 돌아가는 경우가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정상화 절차를 밟고 있는 대학은 광운대 대구대 덕성여대 경기대 동덕여대 등이다.
학내분규로 16년간 임시이사 체제를 이어온 대구대의 경우 구성원은 물론 대구시장과 경북지사까지 나서 옛 재단 측의 재단 장악을 반대하고 있지만 상지대 결정을 감안하면 종전이사들의 정이사 참여를 막을 명분이 없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광운대도 옛 재단 측 인사가 대거 포함된 정이사 명단이 교과부에 제출돼 있는 상태다.
그렇지만 상지대가 정상화 확정 이후 오히려 분규가 가열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다른 대학들도 똑같은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교수와 학생들의 옛 재단 복귀 반대 때문에 갈등이 확산될 것이라는 얘기다.
덕성여대 교수 32명은 6일 옛 재단의 복귀를 반대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박철현기자 kara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