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넘쳐나는 쌀 해소를 위해 식용벼 일부를 사료벼로 전환하기로 했다. 식용으로 키우고 있는 벼 일부를 사료벼로 수확해 쌀 수급 조절에 나서겠다는 것. 정부는 사료벼 전환을 통해 올해 20만톤 가량 쌀 생산량을 줄인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5일 "현재 들판에서 자라고 있는 벼 일부를 사료용으로 전환하기 위해 전국을 대상으로 수요를 파악하고 있다"며 "조사가 끝나는 대로 식용벼 일부를 총체사료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총체사료벼는 벼를 벤 뒤 타작하지 않은 채 썰어 알과 짚을 모두 가축 먹이로 쓰는 사료벼. 정부는 올해 20만톤 가량의 벼를 총체사료벼로 전환 할 경우 현재 140만톤인 쌀 재고량이 더 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140만톤도 적정 재고(72만톤)량의 두 배에 달하는 양이다.
사료벼 전환 시기는 이달 말이나 9월 초 쯤으로 예상된다. 낟알이 완전히 여물 경우 사료용으로 쓸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사료벼 전환 대상지는 전남과 경남 등 주로 남부지역이 될 전망. 농식품부 관계자는 "전환 면적을 정하는 데 있어 올해 작황이 최우선 기준이 된다"며 "이 경우 가장 늦게 벼가 익는 지역이 대상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작황을 정확하기 예측하기 위해서는 추수 때까지 기다려야 하지만 사료용 벼로서의 가치도 고려해야 하는 만큼 벼가 가장 늦게 익는 지역이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일반벼의 사료벼 전환에 따른 보상 수준은 쌀 가격의 80~90% 수준에서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농민 입장에서도 추수 때까지 투입해야 할 노동과 비용을 줄일 수 있어 큰 손해 없이 한해 농사를 끝낼 수 있고, 해당 논에 콩 등 2모작을 통해 소득을 더 올릴 수 있어 오히려 이익이 된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과잉 생산으로 쌀값이 떨어지고 있고, 목표가격의 85%까지 정부가 보전해주고 있는 만큼 정부 재정에도 큰 부담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처럼 일반벼를 사료용으로 전환하는 것과는 별도로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사료전용 벼품종 보급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올해 사료벼 품종 2,300㎏을 전국 4개 시범지역(203ha)에 공급했다"며 "앞으로 공급을 확대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총체사료벼 재배 면적을 늘려나갈 경우 사료 자급률를 높이는 것은 물론 축산물 품질을 고급화할 수 있고 농지 보존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총체벼는 식용벼에 비해 수량이 60%이상 높고, 한우에 먹일 경우 체중이 일반 사료를 먹은 소보다 7~9% 정도 높아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사료벼 보급이 확대될 경우 농지 보존 효과가 클 뿐 아니라 흉년 등 유사시에는 식용쌀 생산 용도로 즉시 전환이 가능한 것도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2005년산 쌀을 사료용으로 전환하는 작업도 차질 없이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과거 북한에 지원하던 쌀도 생산 1~2년 된 쌀이었고, 2005년산 쌀은 식용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버릴 수는 없는 만큼 가축은 물론 양식장 어류 사료로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민승기자 msj@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