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사지마비 환자서 서울대 의대 주임교수로…서울대병원 신경과 전범석 교수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사지마비 환자서 서울대 의대 주임교수로…서울대병원 신경과 전범석 교수

입력
2010.07.19 12:03
0 0

“불의의 사고를 당하면 대부분 좌절하고 우울해지는데 그렇게 지내면 절대로 병마와 싸워 이길 수 없습니다. 하루빨리 현실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병을 이겨낼지 찾고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등산하다 불의의 사고로 사지가 마비됐으나 불굴의 의지로 이를 극복한 전범석(52)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가 지난 16일 인사에서 2년 임기의 서울대 의대 신경과학교실 주임교수 겸 서울대병원 신경과 진료과장직을 맡게 됐다.

의대 주임교수는 ‘의사의 꽃’으로 불린다. 해당 진료분야에서 실력과 권위를 인정받은 것뿐만 아니라 해당 과의 인사ㆍ운영권도 쥐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대 의대 신경과학교실은 본원인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등 3개 병원을 합쳐 의사(교수 23명, 전공의 42명)만 65명이나 될 정도로 규모가 커 주임교수 의미가 남다르다. 주임교수로 등용된 것을 두고 주위에서는 ‘인간 승리’라고 말하지만 정작 전 교수 자신은 그 동안을 ‘자신과의 고독한 싸움’이라고 회고했다.

전 교수에게 불행이 닥친 것은 2004년 6월5일. 전 교수는 이날도 평소 주말처럼 점심을 먹고 고교 후배와 함께 남한산성에 올랐다. 그런데 갑자기 원인 모르는 이유로 정신을 잃고 쓰러졌다. 팔다리도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됐다. 국내 최고 신경과 전문의가 자신의 전공 분야인 신경마비로 꼼짝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는 당시 태아 뇌세포를 파킨슨병 환자 뇌에 이식하는 수술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공했고, 10여 개 기관에서 연구비를 지원받고 있던 ‘잘 나가는’ 신경과 교수였다.

전 교수의 의지는 사지 마비로 쓰러진 뒤부터 빛나기 시작했다. 사고 직후 의식이 회복된 뒤 그는 자신의 몸의 상황을 냉철히 진단하고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갔다. 그는 우선 목 부위 척수가 더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고현장에 있는 주변 사람들에게 목 보호를 요청한 뒤 들것 대신 헬기를 불러 후송케 했다. 이어 병원에서 척추 고정수술을 받은 뒤 3일만에 재활운동을 시작했다.

재활 운동을 시작할 당시 그의 상태는 최악이었다. “오른쪽 발가락만 까닥할 수 있었을 뿐 사지마비는 여전했다”고 전 교수는 회고했다. 그런 그가 재활치료에 전념할 수 있었던 것은 처지를 비관하지 않는 ‘긍정의 힘’이었다. 그는 “척수손상이 되면 호흡이 마비되는데 그렇지 않은 것도 기적, 척수손상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던 내가 사고를 당한 것도 기적, 넘어질 때 땅바닥에 머리를 부딪치면서 뇌가 손상되지 않은 것도 기적”이라고 말할 정도로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판단했다.

사고 9개월 뒤 그는 기적처럼 일상으로 돌아왔다. 이후 50여 편의 과학인용색인(SCI) 논문을 발표할 정도로 연구도 활발히 했고, 환자 진료도 전처럼 1주일에 네 번씩 했다. 지금도 그는 연구실에 있을 때에는 매일 3시간 실내 자전거를 타며 운동하고 저녁마다 재활의학과에서 물리치료를 받고 있다. 주임교수로서의 포부를 묻는 질문에 그는 “의사들의 수련과 연구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