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대출자들의 DTI가 계속 상승 중이다. 소득은 줄거나 조금 늘어난 반면 대출은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개인 채무자들의 상환능력이 그만큼 나빠지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DTI가 40%를 넘는 ‘고위험군’비중도 함께 늘어나는 추세여서 금융기관의 대출건전성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18일 개인 신용평가회사인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소속 KCB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개인 대출자들의 DTI(월 상환 원리금/월 소득)는 지난해 1분기 평균 21.2%에서 2분기 20.1%, 3분기 19.7%로 하락세를 보이다 4분기 20.0%로 상승 반전했다. 이어 올해 1분기 20.4%, 4월 21.3%로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은행과 보험사에서 대출한 사람들의 4월 DTI가 지난해 3분기 대비 각각 2.5%포인트, 1.5%포인트 등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월 갚는 빚이 월 소득의 40%를 초과하는 고위험군 비중도 증가세다. 지난해 1분기 14.5%였던 고위험군 비중이 2분기 13.3%, 3분기 12.8%로 줄어들었으나, 4분기 13.1%로 늘기 시작하더니 올해 1분기 13.5%, 4월 14.6%로 증가했다. 이 비중 역시 은행과 보험사에서 크게 늘어나, 지난해 3분기 말 대비 은행은 2.8%포인트, 보험은 2.1%포인트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상환 부담은 더 커질 전망. KCB연구소는 올해 하반기 1%포인트의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경우 전체 가계 대출자의 DTI가 21.3%에서 22.6%로 6.4%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고위험군 비중도 14.6%에서 16.1%로 1.5%포인트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이 경우 모두 17만1,000명이 새롭게 고위험군에 편입되는 셈이다.
이영숙 KCB연구소 차장은 “개인 대출자들의 DTI와 고위험군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로 채무자들의 상환 능력이 가장 심각하게 악화했던 지난해 1분기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1분기는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금리인하 등 전례 없는 조치가 단행됐던 반면 지금은 정부 차원에서 출구전략에 나서고 있는 시점이어서 가계부실 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진주기자 parisco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