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공모형PF사업이 좌초된다면 당사자는 물론 건설ㆍ금융업계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선 용산역세권개발PF이 무산될 경우, 개발사업을 위해 설립한 회사인 드림허브PFV는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처하고, 출자자들은 납부한 토지대금 계약금(4,400억원)을 위약금 형태로 떼이는 등 큰 손실을 입게 된다. 드림허브PFV의 자본금은 총 1조원 규모로, 코레일의 지분이 25%(2,500억원)로 가장 높다. 이어 롯데관광개발(1,510억원), KB자산운용(1,000억원), 푸르덴셜(770억원) 삼성물산(640억원) 등의 순이다. 출자자들은 사업 좌초시 출자금을 모두 날릴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코레일은 장기간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아 온 지역 주민들의 집단 반발과 민원, 소송에 직면할 수 있다. 용산 개발을 통해 고속철도(KTX) 건설부채 4조5,000억원을 갚고 재무건전성을 개선하려는 계획도 큰 차질을 빚게 된다.
대형 PF사업 자체가 위축되며 건설업계는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며 채권단 지도로 구조조정을 하고 있는 건설사들 입장에서는 부채비율과 리스크 관리가 가장 중요한데, 당분간 대형 PF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의 피해는 그나마 작은 편. 시중은행 지분이 작고 대출금도 토지 담보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최진주기자 parisco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