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산가족 문제는 60년째 현재진행형이다. 60만~70만 명으로 추정되는 이산가족들은 "이젠 단념할 수밖에 없지 않냐"면서도 혈육에 대한 그리움으로 자기 순서를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올 5월말 현재 이산가족 정보종합센터에 등록된 이산가족 신청자는 12만8,123명이다. 이들 3명 중 1명 꼴인 4만3,990명이 생이별의 한을 품은 채 사망했다. 남아 있는 신청자 중 절대 다수가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문제는 더 심각하다. 현재 살아 있는 상봉신청자 8만4,133명 중 90세 이상이 4,745명(5.6%), 80~89세 2만9,572명(35.2%), 70~79세 3만715명(36.5%)이다. 70세 이상만 77.3%에 달하는 만큼 이산가족 문제는 시간과의 싸움인 셈이다.
하지만 본격적인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 2000년 이후 당국 차원의 대면상봉은 3,573가족ㆍ1만7,100명(남북한 상봉자 모두 포함)에 불과하다. 화상상봉(557가족ㆍ3,748명)까지 포함해도 4,130가족ㆍ2만848명만이 혈육을 만날 수 있었다. 1990년대 이후 민간 차원의 상봉 1,731가족ㆍ3,358명까지 더해도 북한에 있는 혈육을 만난 사람은 상봉 신청자의 10% 수준에 불과하다. 상봉횟수가 적다 보니 10ㆍ4 남북공동선언에 따라 매년 4차례씩 상봉행사를 해도 90세 이상 신청자가 모두 상봉하는데 만 10여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산가족 문제는 인도주의적 이슈이지만 항상 남북간의 정치적 논리에 희생돼 왔다. 최근 천안함 사태로 강 대 강 국면으로 치닫는 남북 관계를 감안하면 이산가족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찾을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지고 있다.
대한적십자사엔 최근 "살아 생전엔 (상봉이) 어려울 것 같다"며 하소연을 하는 전화가 부쩍 잦아졌다고 한다. 한적 관계자는 "북한이 이산가족 면회소를 몰수하고 판문점 연락관이 철수하는 등 최소한의 통신망도 끊어졌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이산가족 교류 사업을 비정치적 문제로 풀어내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장재용기자 jy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