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악화로 '부실'로 분류된 저축은행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채권규모가 4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3조원 가량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PF 부실채권을 사들일 방침이다.
24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5일 오후 전체회의를 열어 저축은행 PF 부실채권 매입을 위해 자산관리공사(캠코)의 구조조정기금을 투입하는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올 3월말 기준 저축은행들의 PF 대출 잔액은 11조9,000원이며 연체율은 13.7%에 이른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이 PF 사업장 전수조사를 통해 70여개 저축은행의 4조원에 가까운 채권을 캠코 매각 대상인 '악화 우려'로 분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캠코가 지난해에도 53개 저축은행의 PF 부실채권 1조7,000억원 어치를 매입한 것을 감안하면, 부동산 경기침체로 PF부실규모가 추가로 두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캠코는 약 3조원을 투입해 4조원에 달하는 부실채권을 장부가격의 60~80% 수준에서 '사후정산' 방식으로 매입할 방침이다. 저축은행이 부실 채권을 캠코에 넘기면 캠코가 이를 경매나 공매를 통해 처분하되, 캠코가 사들인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팔려 손실이 발생하면 저축은행이 사후에 손실을 보전하겠다는 것. 금융권 관계자는 "만약 60억원에 산 부실채권이 70억원에 팔렸다면 캠코가 10억원 차익을 얻는 구조여서 공적자금의 손실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향후 캠코가 채권을 매각할 경우 해당 저축은행에게 채권을 먼저 살 수 있는 권리를 줄 방침이다.
정부는 공적자금 투입과 함께 저축은행의 연착륙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부실 문제를 해결키로 했다. 저축은행이 부실채권을 매각하더라도 대손충당금은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쌓도록 해 실적 악화를 분산시킨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부실이 발생한 저축은행의 대주주에 대해서는 책임경영과 자구노력을 강도 높게 요구할 계획이다. 대주주 증자나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을 진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점포 확대 제한, 배당제한 등 제약도 받게 된다. 금융당국은 또 개별 저축은행들로부터 경영정상화 계획을 제출 받아 경영개선약정(MOU)을 맺고 이행상황을 철저히 감독할 방침이다.
특히 경영정상화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거나, 정상화 계획 이행실적이 미흡한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영업정지, 인수ㆍ합병(M&A) 등 강력한 구조조정도 불사하겠다는 것이 당국의 입장이다.
김용식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