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선거에선 패했지만 서울시의원과 경기도의원선거에서는 대약진을 이뤄 지방판 여소야대가 탄생하게 됐다. 또 강원에서는 광역단체장이 민주당 소속인 반면, 도의회는 한나라당이, 충남에서는 단체장이 민주당인 반면, 도의회는 자유선진당이 다수를 차지했다.
서울시의회는 96석(비례대표 제외) 중 민주당이 74석을 차지한 반면, 한나라당은 22석을 얻는 데 그쳤다. 다른 정당은 시의회 진입에 실패했다. 시의회가 시장과 다른 당적의 의원들로 대거 채워지는 여소야대 정국이 된 것은 처음이다.
경기도의회도 112석 가운데 민주당이 71석을 차지했으나 여당인 한나라당은 36석으로 민주당의 절반에 그쳤다. 나머지 5석은 무소속 2석,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이 1석씩이었다.
민주당은 서울시의회와 경기도의회에서 의석을 대거 확보함으로써 교섭단체 구성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에 놓이게 됐고, 의장을 모두 배출할 수 있게 됐다. 2006년 5ㆍ31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서울시의회에서는 교섭단체 요건(10명)조차 충족하지 못했다. 경기도의회에서는 전체 119석 가운데 한나라당이 115석을 휩쓴 반면, 민주당은 단 2석에 그쳤었다.
민주당 후보가 도지사에 당선된 강원의 경우 도의회 의석 38석 가운데 한나라당이 20석, 민주당이 12석을 차지했고 역시 민주당 후보가 도지사에 당선된 충남도의회도 의석 36석 가운데 민주당이 12석, 자유선진당이 19석을 차지, 또 다른 형태의 여소야대를 연출했다.
이처럼 지방판 여소야대를 이룬 시도의회들은 그 어느 때보다 시정 감시와 견제 기능이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다수당 소속 시도의원들이 타 정당 소속인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문수 경기도지사, 이광재 강원도지사의 정책을 호락호락 통과시켜 줄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특히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주요 공약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의 경우 민주당이 당론으로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 추진에 마찰이 불가피할 예정이다.
반면 진보 성향 후보가 당선된 서울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과의 업무 협조는 비교적 원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던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무상 급식의 경우 그동안 한나라당이 절대 다수를 점하며 세 차례나 예산이 삭감했기 때문에 이 예산안이 이번 도의회에서 어떤 형태로 통과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강주형기자 cubi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