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천안함 사태를 계기로 한국의 해군전력을 강화하기 위한 장기전략을 구상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미 행정부 고위관리들을 인용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관리들은 "잠수정을 통한 북한의 예상 밖 공격으로 한미 양국은 크게 당황했다"며 "한국 방위를 위한 수년간에 걸친 훈련과 비용에도 불구, 한국이 기습공격에 취약하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이 신문에 전했다.
한국 정부도 이번 사태로 북한의 공격을 차단하기에는 한국의 해상 경계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미국에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 멀린 미 합참의장은 지난주 천안함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단기처방'으로 한미 양국의 대 잠수함 연합훈련, 선박검색 강화 등을 제시했다.
미국이 이번에 고려하고 있는 장기전략은 소형잠수정을 탐지, 추적해 이를 억제하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으로는 수중음파탐지기와 공중 초계활동을 통해 해상에서의 대 잠수함 네트워크를 획기적으로 확장하는 것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한국 해군이 이런 능력을 보유케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규모의 기술력과 시간이 투여돼야 한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천안함 사태는 북한의 한국에 대한 군사도발의 일단을 보여준 것으로 미국은 파악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장기전을 수행할 능력이 없다는 한계 때문에 사전 경고 없이 정치ㆍ경제적 안정을 해칠 목적으로 한정된 무력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미 행정부 관리들은 "북한이 경제여건상 전쟁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겠지만, 탐지하기 어려운 기술력을 이용해 '상당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것이 천안함 사태를 통해 명백해졌다"며 "북한은 여기에다 핵무기 개발로 추가적인 이중 억제전략을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멀린 합참의장은 "북한에 예측가능한 게 있다면 그것은 무슨 행동을 할 지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천안함 사태는 앞으로 있을 여러 (도발) 사례 중 단지 첫번째일 뿐"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한국 정부의 고위 당국자는 북한의 잠수함 전력에 대해 "정교한 소형 잠수정으로 군함을 침몰시키는 것이 아닌, 잠수함을 이용해 특수요원이나 공작원을 남한에 침투시킬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왔다"고 말해 천안함 사태와 같은 북한의 도발을 예상하지 못했음을 시사했다.
워싱턴=황유석특파원 aquariu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