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제주에서 폐막한 한∙중∙일 정상회의는 대북 제재와 압박을 위한 '천안함 외교'의 첫 매듭을 짓는 성과를 남겼다. 20일 국제 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 발표 이후 미∙중 전략경제대화, 클린턴 미 국무장관 방한,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의 정상회담에 이어 3국 정상회의가 숨 돌릴 틈 없이 진행됐다. 그 고비인 3국 정상회의 결과는 천안함 사태의 국제적 전개 방향을 가늠하는 데 도움된다.
한ㆍ중ㆍ일 정상은 어제 공동 언론발표문을 통해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천안함 사태에 적절하게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 "일본과 중국 정상은 한국과 국제 합동조사단이 수행한 공동조사의 결과에 대한 각국 반응을 중요시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은 "천안함 사태를 언급한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앞서 한∙중 정상회담에서 반보 전진했던 중국이 한 걸음 나아갔다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한∙미∙일과 중국의 입장 차이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 측면도 있다. 한∙미∙일 3국은 북한의 도발에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협력과 공조도 어느 때보다 좋다. 반면 중국은 조사 결과를 중시한다면서도 대북 제재와 압박에는 매우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원자바오 총리가 "가장 시급한 것은 천안함 사건으로 생긴 긴장을 점차적으로 해소하고 특히 충돌을 피하는 것"이라고 강조한 데서 뚜렷이 드러났다.
정부는 지금까지의 외교적 성과를 토대로 천안함 문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 이번 주 안에 안보리 의장에게 공식 서한을 보낼 예정이다.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조치 결의안 채택, 또는 사과와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일반 결의안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중국의 유보적 입장에 큰 변화가 없는 한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관련국과 협력해 단호하면서도 유연한 접근으로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그에 따라 천안함 외교의 승부가 판가름 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