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5·24 대북제재 이후/ 사라진 北 잠수함 4척… 대비책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5·24 대북제재 이후/ 사라진 北 잠수함 4척… 대비책은

입력
2010.05.26 13:07
0 0

북한 잠수함이 24일 군의 감시망에서 또 사라졌다. 천안함 사태가 북 잠수정의 항로를 놓친 것에서 비롯된 만큼 군 당국은 경계 수위를 높이며 북한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26일 "잠수함 수척이 통상 훈련의 일환으로 모 기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군의 감시 장비를 집중 동원하고 대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잠수함이 기지를 떠나 잠항 중이지만 아직 동ㆍ서해의 북방한계선(NLL)을 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출항 기지로는 동해의 차호기지와 서해의 비파곶기지가 유력하다. 이와 관련, 군 관계자는 "동해에서 북 잠수함 네 척이 사라졌다"고 말했지만 정보 당국의 다른 관계자는 "서해에서 세 척이 사라졌고 이어 한 척이 사라진 것으로 안다"고 밝혀 아직은 유동적이다.

북 잠수함이 남쪽으로 기동했다면 무엇보다 천안함 사태 이후 군의 해상 경계 태세를 시험하려는 의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동해의 경우 바로 NLL까지 접근하거나 태평양 쪽으로 돌아 공해상에서 남한 수역을 관찰할 가능성이 높다. 서해는 다음 달 한미 양국이 연합대잠훈련을 확대 실시키로 하는 등 전력을 보강하고 있어 미연에 파악해야 할 필요성도 컸을 것이다. 또 27일에는 서해에서 해군이 기동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잠수함의 움직임은 포착하기가 어렵다. 20일 천안함 조사 결과 발표 때 황원동 국방부 정보본부장은 "기지를 이탈해 잠항(潛航)이 시작되면 현재까지 개발된 세계 어느 나라의 기술로도 분명하게 추적하는 것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었다.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나갈 뿐 완벽한 대처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잠수함으로 잠수함을 잡는 전략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지적이 많다. 적의 기지 주변을 지키는 맞불 전략이다. 냉전 시기 미국이 북극해 주변의 구소련 잠수함 기지를 효과적으로 봉쇄한 방법이기도 하다. 하지만 조건이 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70여척인 북한에 비해 남한은 10여척으로 절대 열세이기 때문에 수적 균형을 맞추고 장시간의 잠항 능력도 갖춰야 가능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물 위와 아래, 하늘에서의 입체적 감시망을 촘촘하게 짜는 것도 중요하다. 하루에 2, 3회 한반도 상공을 지나는 위성만으로는 실시간으로 북 잠수함의 기동이나 모선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음파탐지기(소나)와 초계함의 성능을 개선하고 원거리탐지용 음향센서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군 관계자는 "북한군이 24일 야간에 경기 연천군 중부전선 일대에서 직일포(포탄을 장전해 언제든 쏠 준비가 돼 있는 포) 훈련을 했다"며 "당시 5분간 포성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